지역

캠프페이지 개발 쟁점…춘천시 “정부 참여 공공 신뢰” 시민단체 “재원 우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춘천시 “공공 사업 수익 시민에게”
“정부 검증 받고 계획 함께 수립” 안정성 강조
시민단체 “투자비 회수 우려, 이자 연 300억원 부담”

도시재생혁신지구 시민토론회가 19일 춘천시청 대회의실에서 시민들의 높은 참여 속에 열렸다. 김남덕기자

【춘천】 캠프페이지 도시재생혁신지구 시민토론회에서 사업을 둘러싼 쟁점에 대한 공방이 벌어졌다.

춘천시는 재원 계획, 공동주택 건립 등 각종 논란과 의혹 해소에 적극 나섰고 토론에 참여한 시민사회단체 등은 여전히 우려를 나타냈다.

우선 사업 수익을 민간 사업자가 가져갈 수 있다는 의혹에 시는 “혁신지구는 공공 주도의 사업으로 주택도시기금이 51%, 춘천시가 40%를 출자해 직접 사업을 수행한다”며 “수익은 대부분 시민에게 돌아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시는 공동 주택 논란에 “혁신지구 사업은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산업 유치가 핵심으로 아파트는 거점구역 내 일부 정주 시설로 들어선다”며 사업성 확보를 위한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 재정 부담에 대해 “국가의 검증을 받는 사업으로 시행 단계부터 정부와 함께 계획을 수립한다”며 “주택도시기금이 공동 출자하고 연 2% 대의 저리 융자를 진행한다”고 했다.

하지만 토론에 나선 권용범 춘천 경실련사무처장은 “연간 이자로 300억원 이상이 예상되고 매년 생활 SOC 임대비가 추가로 든다”며 “청산 시점에서 수익이 남지 않으면 시가 비용을 회수하지 못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윤민섭 시의원은 “민간 대출에 대한 시민 설명이 부족하고 향후 사업 구체화가 이뤄질텐데 이미 용역비 등 상당한 예산이 투입됐다”고 했다.

이에 시는 “혁신지구 지정이 되더라도 2~3년 간 계획이 다듬어질 것이고 주민 의견을 수렴해 충분한 검토로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했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