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속보=국내 첫 바이오 국가전략첨단산업 특화단지(본보 5월30일자 2면 보도)가 이번 주 중 발표된다.
강원특별자치도(춘천+홍천)를 비롯한 전국 11개 지자체가 유치에 뛰어든 가운데 한치 앞도 내다보기 힘든 초박빙의 경쟁이 펼쳐지고 있다.
정부는 이번 주 서면으로 국무총리 주재 국가첨단전략산업위원회를 열고 바이오 국가전략첨단산업 특화단지 지정 도시를 발표한다. 발표 시기는 27일이 유력한 것으로 전해진다. 바이오의약품 분야에 강원 춘천+홍천과 인천 송도, 대전 유성, 경북 안동+포항, 경기 시흥, 전남 화순 등 6곳, 오가노이드 분야에는 경기 고양, 수원, 성남, 충북 오송, 전북 전주+익산+정읍 5곳이 신청서를 제출했다.
강원자치도의 최대 경쟁상대는 인천 송도와 대전 유성이다.
대전 유성의 경우 원촌 바이오첨단메디컬 혁신지구가 지난주 기회발전특구로 선정되면서 기세를 올렸고 인천 송도는 글로벌기업이 밀집해 있다는 강점을 갖고 있다.
경쟁상대가 만만치 않지만 춘천과 홍천도 나름의 경쟁력과 당위성이 충분하다. 이미 글로벌혁신특구와 기업혁신파크를 유치했고 강원특별법을 활용한 특화·맞춤형 지원정책도 마련돼 있다. 또 국내 유일 항체 연구소, 바이오의약 강소 특구 등 산・학・연 기관을 다수 갖추고 있다.
더욱이 현재 전국 17개 광역시·도 중에서 정부 지정 전략첨단산업단지, 소부장 특화단지(반도체·이차전지·디스플레이 특화단지, 소부장 특화단지)가 없는 곳은 강원과 수도권인 인천 뿐이다. 국가첨단전략산업법 제16조는 ‘수도권 외의 지역’을 우선 고려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는 2022년 제정된 국가첨단전략산업법에 따라 경제안보 중요성, 연관산업 파급 효과가 크고 대규모 투자계획에 따른 입지·인력양성 등 정부 지원이 시급한 반도체,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바이오 분야에 대해 지정할 수 있다.
지정 시 인프라 구축, 연구개발사업, 국공유 재산 사용료 면제, 조세 및 부담금 감면, 인허가 신속처리 의무화, 용적률 최대 1.4배 상향, 수출 판로개척, 정부 R&D예산 우선 배정, 예비타당성 조사 특례 등 전방위적인 지원이 이뤄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