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발언대]즐거운 산행의 시작 안전수칙 준수

장상훈 고성소방서장

봄철 산불 예방을 위해 통제됐던 등산로가 개방되면서 본격적인 산행 철이 시작됐다.

등산객이 늘면서 산행준비 부족, 과욕, 안전 수칙을 지키지 않는 사람 등으로 산악구조 출동도 자연스럽게 늘어나고 있다. 설악산은 그 수려한 절경만큼 산세가 험하고 기상변화가 심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매우 크다. 최근 5년간(2019~2023년) 강원특별자치도 소방안전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산악사고의 원인은 사고부상 27.8%(1,637건), 일반조난 27.4%(1,616건)로 전체의 55%를 차지했다. 사고부상은 추락·실족 등 안전수칙 미준수 등이 75.4%(1,235건)로 가장 많았고 낙석·박빙이 3.4%(56건)였다.

봄철인 5~6월에 18.7%(1,104건), 가을철인 9~10월 34.5%(2,032건)로 봄과 가을에 가장 많았으며, 설악산을 관할하는 4개 소방서에서만 2,406건이 발생해 전체 산악사고 출동의 43%가 발생했다.

지난달 25일 낮 12시11분쯤 고성군 토성면 원암리 신선봉 인근에서 50대 여성 A씨가 15m 높이에서 추락해 구조 후 심정지 상태로 이송됐지만 숨졌고, 26일 밤 11시28분께 인제군 북면 용대리 설악산에서는 등산객 B씨(65)씨가 산행 중 10m 아래 절벽으로 추락해 거동이 불가하다는 신고를 받고 소방헬기가 출동해 병원에 이송한 바 있다.

안전한 산행을 위해서는 산행 전 코스와 난이도 등 등산의 기본적인 사항을 숙지하고 출발 전 가벼운 스트레칭을 한 후에 산에 올라야 한다. 주말에 등산이 예정되어 있다면 평일 주 2~3회 정도는 가벼운 유산소 운동으로 가볍게 체력을 단련해 놓아야 한다. 하산 시에는 발목과 무릎에 가해지는 하중이 체중의 3배에 이르게 되므로 지형에 따라 보폭이나 발의 착지 부위를 알맞게 조절하여 걸어야 하며 하산 때의 체력 저하는 안전사고의 가장 주된 원인(산악사고의 대부분을 차지)이므로 하중이 손과 발에 분산되도록 스틱을 적절하게 사용하면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른 아침에 등산을 시작해 일몰 전까지는 하산할 수 있도록 여유 있는 산행 계획을 세워야 한다. 또한 산속은 일교차가 심하므로 비상식량과 여벌의 옷을 준비해 체온유지와 보온에 신경 쓰고 등산 중 가슴이 답답하거나 두통·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등산을 중단하고 휴식을 취해야 한다. 만약 정도가 심해 응급상황으로 이어지면 119에 신고해 전문 산악구조대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안전한 산행을 위해서는 단독산행은 가급적 피하고 잘 모르는 길이나 비등산로에는 접근하지 말아야 한다.

길을 잃거나 불의의 사고를 대비해 미리 스마트폰에 강원119신고앱 을 설치해 신고하기 버튼만 누르면 신고자의 위치가 GPS를 통해 상황실에 자동으로 전송되므로 좀 더 빠르게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산에서 가장 먼저 배워야 할 것은 자신을 낮추는 것이다. 무리한 산행 및 위험지역에서 사진 찍기 등을 피하고 안전수칙을 준수해야 한다. 엄홍길 대장의 책 ‘꿈을 향해 거침없이 도전하라’에 “산은 정복하는 게 아니라 정상을 잠시 빌리는 것이다”라는 말이 나온다. 산은 정복하는 것이 아니라 잠시 자리를 빌려 쓰고 돌려주는 것이다.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