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마철이 다가오고 있지만 대표적인 침수 피해 대비책인 ‘풍수해 보험 가입’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침수 피해에 취약한 저소득층일수록 제도 자체를 아예 모르는 경우가 많아 사각지대에 놓였다.
풍수해보험은 태풍, 호우, 대설, 강풍, 지진 등 9개 자연재난으로 피해를 입었을 경우 현실적인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자연재해보험으로 정부와 지자체가 보험료의 70% 이상을 지원한다. 주택, 온실, 소상공인 사업장 등이 보장 대상이다.
19일 강원특별자치도에 따르면 ‘주택’의 경우 도내 풍수해보험 가입 대상은 16만 5,122건이지만 이 중 16%(지난 4월 기준)만 가입된 상태다. 집중호우시 침수 피해가 우려되는 주택 100곳 중 16곳만 안전망을 갖추고 있는 셈이다. 농가들이 해당되는 ‘온실’은 가입률이 47%, 소상공인은 58%였다.
지난해 7월 집중호우로 주택 파손 피해를 입은 A씨의 경우 풍수해 보험에 가입해 둔 덕분에 5,500여만원을 받았다. A씨가 연간 납입한 보험료는 9,800원으로 이 중 7,700원은 정부가 지원했다.
강원지역의 풍수해 보험금 수령액은 2022년 811건, 17억원이었지만 지난해에는 1,404건, 40억원으로 크게 늘었다. 극한 호우로 인한 재산 피해를 복구하는데 풍수해 보험이 크게 도움이 됐다.
이같은 혜택에도 풍수해 보험 가입률이 저조한 가장 큰 이유로는 ‘낮은 인지도’가 꼽힌다.

강원자치도가 도내 1만 5,800가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3년 강원자치도 사회조사에 따르면 ‘풍수해 보험을 알고 있다’는 응답률은 31.7%에 불과했다. ‘들어봤지만 내용은 모른다’는 응답률이 25%, ‘들어 본 적도 없다’는 43%였다. 특히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풍수해 보험 인지도는 낮았다. 월 소득 ‘100만원 미만’ 가구의 87%는 풍수해 보험을 모른다고 답했다. 침수 피해 우려가 큰 저소득층 가구일 수록 사회 안전망에 대한 정보도 취약했다.
강원자치도 관계자는 “6월 장마철 대비가 한창인 만큼 풍수해 보험 가입자를 늘리기 위해 시·군과 적극 홍보에 나서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