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황우여 비상대책위원회'가 13일 공식 출범하면서 전당대회 룰 개정 논의가 본격화할 전망이다. 4·10총선 패배를 기점으로 '당원 투표 100%'로 대표를 뽑는 현행 규정을 국민 여론조사를 반영하는 방식으로 바꿔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수도권 초선인 김용태 비대위원은 이날 채널A '정치시그널'에 출연해 "룰은 바뀌어야 한다"며 "내가 5(여론조사) 대 5(당원투표) 개정을 말한 바 있는데, 3대7 정도라도 민심이 충분히 반영될 수 있는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서울 강동갑에서 낙선한 전주혜 비대위원은 "내가 원외 인사들의 목소리를 대변할 것"이라며 "비대위 내에서 룰 개정을 이야기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원외 조직위원장 160명도 전대 룰을 '여론조사 50%·당원투표 50%'로 바꿔야 한다고 요구했었다.
반면 여전히 룰 개정에 회의적인 목소리도 적지 않게 나온다.
친윤계 유상범(홍천-횡성-영월-평창) 의원은 지난달 말 KBS라디오에서 "(당심·민심) 5대5로 주장하는 입장은 100% 당심에 의한 대표 선출로 인해 총선 패배의 민심이반을 야기했다고 주장하는데 동의할 수 없다"며 "당대 표를 어떻게 하느냐가 문제가 된 것이지, 선출과정 자체로 민심이반이라 주장하는 건 '그 근저에 다른 의도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언급했었다.
또 "중요한 건 7대3으로 우리가 하든 100% 당심으로 하든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다. 결국은 비대위원장이 와서 현재 국민적 여론까지 다 감안해서 결정할 수 있는 사안"이라고 했다.
또다른 비대위원은 "당원이 80만명 수준인데 당원 1,000명 뽑고, 일반 국민 1,000명 뽑아서 같이 대표를 선출하면 일반 여론조사가 과다 대표 되는 것"이라며 "여론조사 반영이 합리적인지 논의를 해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전대 룰을 두고 당내 목소리가 양분되면서 비대위 논의 과정에서 당내 갈등이 빚어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비대위에 친윤 인사들이 대거 포함된 점도 회의론에 다소 무게를 싣는다. 직전 전대를 앞두고 당원투표 100% 룰을 관철한 게 주류 측이기 때문이다.
황우여 비대위원장은 "우리가 의견을 잘 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비대위원들과 논의해 전대 룰과 관련한 의견 수렴 일정을 정하려고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