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일반

"한 달째 투명 인간 취급받으며 업무"…회식 강요 '직장갑질' 여전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회식 참석하지 않으면 타부서 전출 등 인사 불이익 주겠다고 겁박"
시민단체 직장갑질119 "회식 통해서만 단합 한다는 관점 바꿔야"

사진=연합뉴스

회식을 강요하고 참석하지 않으면 타부서 전출 등 인사 불이익을 주겠다고 겁박까지 하는 '직장갑질' 사례가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민단체 직장갑질119는 올해 1월부터 지난 12일까지 신원이 확인된 이메일 상담 1천703건 중 회식 참여와 관련 있는 내용은 48건으로, 이중 회식 강요가 30건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고 17일 밝혔다.

회식 강요 사례는 모두 상급자가 수직적 위계관계를 이용해 회식을 강제로 참석하게 한 것이었으며, 제보자들은 회식 참여 여부가 업무 평가로 이어질 수 있다는 사실상의 협박까지 받았다고 직장갑질119는 전했다.

한 제보자는 "술자리 회식이 너무 잦다"며 "직원들과 술자리에서 친목 도모를 해야 하고, 그런 자리에 많이 참여할수록 적극적인 직원으로 평가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다른 제보자는 "부서에서 회식비 명목으로 매달 몇만 원씩 걷고 있다"며 "나는 몇 년 전부터 회식에 불참하고 회식비도 내지 않는데, 얼마 전 부서장이 이를 언급하면서 타 부서로 전출시킬 수밖에 없다고 한다"고 말했다.

회식에서 일방적으로 배제되는 데 따른 괴로움을 호소한 직장인들도 있었다. 다수의 동료가 관계의 우위를 이용해 따돌림을 가하는 경우도 있었다.

한 제보자는 "한 달째 투명 인간 취급받으며 업무를 하고 있다. 점심시간에 같이 가자고 하지 않는 것은 기본이고, 저를 빼고 회식까지 했다"고 했고, 자신을 공무원이라고 밝힌 제보자는 "저를 괴롭히는 상급자가 어느 날 제게 와서 '앞으로 회식에 나오지 말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직장갑질119 이상운 노무사는 "회식을 강요하거나, 회식에서 일방적으로 배제하는 행위는 분명한 직장 내 괴롭힘"이라며 "회식을 통해서만 소통과 단합이 가능하다는 고리타분한 관점을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사진=연합뉴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