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의 신당 창당 행보에 이어 야권에서도 신당 창당 움직임이 일고 있다. 내년 4·10총선을 앞두고 정계 개편이 이뤄질지 관심이 쏠린다.
더불어민주당 송영길 전 대표는 4일 "민주당의 우당(友黨)으로서 가칭 '윤석열 퇴진당'을 만든다면 명분과 실리를 다 얻을 수 있을 것"이라며 "윤 정부의 잘못된 정책과 싸워나가는 모든 세력의 연대"라고 밝혔다. 이어 "이준석 국민의힘 전 대표와 같은 당을 하거나 연합을 하겠다는 것은 아니다. 검찰 세력이 주도하는 가짜 보수가 아니라 경제를 알고, 세상을 아는 이 전 대표와 같은 합리적 보수와 상생의 정치를 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덧붙였다.
BBS 라디오 '전영신의 아침저널'에 출연해서도 "지역구에서는 경쟁력이 있는 민주당 후보로 힘을 모아주고 비례대표 영역에서는 민주당 우당으로 가칭 '윤석열 퇴진당'에 힘을 모아주면 서로 윈윈할 수 있지 않겠나"라고 언급했다.
이낙연 전 민주당 대표 역시 이날 연합뉴스TV와의 인터뷰에서 자신을 중심으로 한 신당 창당설과 관련, "너무 길게 끌면 안 되니 생각이 정리되는 대로, 때가 되면 말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지금 대한민국의 핵심적 위기인 정치 양극화를 저지하기 위한 제3세력 결집 취지에 공감한다"며 "단지 내가 어떤 역할을 할 것이냐는 나라는 사람의 인생을 걸고 고민해야 하는 문제다. 일단 내년 총선에 출마할 생각은 없다"고 했다.
또 "제3세력이라는 것은 양당 모두 싫다는 사람들에게 선택지를 제시하자는 것"이라며 "윤석열 대통령과 이재명 대표, 두 분 중 한 분만 고르라는 시험문제가 작년 대선부터 계속돼 오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와함께 "그분들에게 정답이 없다고 생각하는 이들의 의사가 국회라는 제도에 투입될 수 있도록 파이프를 만들어주는 것은 정치 안정을 위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앞서 조국 전 법무부 장관도 신당 창당을 시사했었다.
국민의힘에서는 이준석 전 대표가 내년 총선 후보 모집을 시작하는 등 신당 창당에 속도를 내고 있는 상태다. 아직 국회가 비례대표 방식 논의를 끝내지 못한 상태지만 신당 창당이 이뤄질 경우 여야 표심에 어떤 방식으로든 영향을 줄 수 있다.
정치권 관계자는 "총선을 앞두고 창당 움직임이 활발하게 일고 있다"며 "선거제도 및 당내 공천 등 여러 변수에 따라 신당 창당이 진행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