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원특별자치도 내에서 헬스장, 필라테스, 미용샵 등의 ‘회원권 먹튀’가 급증하고 있다. 회원권을 판매해 놓고 영업을 중단하거나 폐업, 환불받지 못한 소비자들의 피해 신고가 최근 3년 사이 2배 가량 치솟았다.
직장인 최모(50대)씨는 지난 5월 춘천 퇴계동 스포츠센터에서 헬스, GX, 골프강습을 포함해 200만원 상당의 회원권을 결제했다. 그러나 회원권 결제 2주만에 스포츠센터가 부도로 영업을 중단하게 됐다는 통보를 받았다. 최씨는 "4개월이 지난 현재까지 돈을 돌려받지 못하고 있다"며 "회원권 결제 당시 폐업에 대한 안내를 받은 적이 없었다"고 말했다.
원주에 사는 40대 주부 박모씨는 올 초 한 네일숍에 회원권을 등록하고 30만원을 선 결제했다가 업체가 폐업해 피해를 겪었다. 10만원 이상 잔액이 남아있던 회원권은 무용지물이 됐다. 박씨는 "사장이 건강 문제로 몇 개월 휴업을 한다고 했는데 알고보니 폐업이었다"며 "환불해 준다고 했지만 연락이 끊겼다"고 답답해 했다.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지난해 도내에서 접수된 회원권 관련 피해는 48건으로 집계됐다. 2019년(24건)과 비교해 2배나 뛰었다. 도내 회원권 피해 사례는 2019년 24건, 2020년 29건, 2021년 38건, 2022년 48건 등 매년 늘어나는 추세다.
하지만 피해자들을 구제할 방법은 마땅치 않다. 소비자원을 통해 상담이나 피해접수는 가능하지만, 당사자 간 연락이 닿지 않으면 취할 수 있는 조치가 사실상 없다. 경찰 고소, 법원 지급명령 신청 등 다른 피해 구제 수단을 이용하기도 쉽지 않다. 소송을 한다고 해도 돈을 돌려받을 수 있다는 보장이 없을뿐 아니라 소송 비용에 대한 부담도 크기 때문이다.
이에 국회에선 먹튀 피해를 줄이기 위한 법안을 잇따라 발의하고 있다. 3개월 이상 이용료를 미리 지불받은 체육시설업자에게 영업 중단 발생 시 이용자의 피해를 배상하도록 보증보험 가입을 의무화한 '필라테스·헬스장 '먹튀' 방지법'이 대표적이다.
법안을 발의한 더불어민주당 이상헌 국회의원은 "피해자들은 고소를 진행하기 위해 경찰서를 드나들고, 검찰 조사를 받아야 하는 것에 부담을 느껴 신고를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며 "소비자들의 심리를 악용하는 악질적 '먹튀' 범행을 근절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