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윤석열 대통령이 미래 먹거리로 바이오와 디지털 헬스케어산업을 제2의 반도체로 육성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에 정부가 직접 반도체 인력 양성에 나서고 있는데, 의료기기산업 분야 인력 양성에 대한 구체적인 로드맵은 불투명한 실정이다.
원주의 주력 산업이기도 한 의료기기에 대한 기대와 우려 속에 한 의료기기 제조사 대표는 “현장에서 정말 필요로 하는 젊은 인재를 찾기가 너무 힘들다”고 하소연한다. 그는 반도체 공장 유치는 무산됐지만 앞으로 반도체교육원이 원주에 들어서는데 상대적으로 처우가 열악한 중소의료기기 업체들의 인력 유출과 구인난은 더욱 심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원주 의료기기 제조업체들의 인력 채용이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는 것은 강원자치도가 해결해야 할 문제다.
원주 의료기기산업은 불과 20여년 만에 연간 매출액 7,000억원이 넘는 규모로 성장했다. 2022년 강원자치도 내 수출의 15%, 전국 수출의 23.1%를 점유해 명실상부한 수출 효자품목으로 자리를 잡았다. 하지만 고질적인 구인난과 코로나19로 인한 경기 침체, 규제 등의 어려움으로 의료기기 기업들은 걱정이 쌓일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다.
2020년 기준 글로벌 의료기기 시장 규모는 약 560조원에 달하는 반면,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 규모는 2026년에 750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연평균 29.5%의 고속 성장이 점쳐지는 유망 분야이기도 하다.
물론 반도체 공장이 원주에 유치됐다면 163조원 규모의 직·간접적 경제 유발효과와 10만명 이상의 고용 창출 효과가 예상되는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겠지만 지역 여건을 감안할 때 기존 의료기기산업을 발전시키고 10년 앞을 내다보는 정책이 더 필요한 시기라고 본다. 이를 위해서는 의료기기산업 분야의 인력 양성에 정부가 적극 나서야 한다.
특히 전주기 R&D 인재 육성, R&D부터 시험평가, 임상시험, 인허가, 보험 등재, 시판까지 각 단계별 전문성을 갖춘 인력을 길러내야 한다.
강원자치도 관계자는 “원주가 의료기기나 디지털 헬스케어산업으로 특화돼 있다 보니 이와 관련한 전략을 세웠다”며 “GRDP 100조원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대구·오송 사례를 벤치마킹해 원주에 첨복단지를 조성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강원자치도가 구상하는 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지는 부론국가산업단지 후보지다. 정부와 협의해 국가산업단지로 지정받으면 첨복단지 설치를 추진하겠다는 것이다. 강원자치도 특례를 활용할 계획인데 이를 구체화하려면 정부와 협의를 거쳐야만 한다. 도 관계자는 “국가산업단지가 지정돼야 추진할 수 있는 일이어서 정부 협조를 끌어내는 것이 중요하다”며 “세부적인 단위 사업을 마련해 내년도 강원자치도 종합계획에 담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따라서 의료기기 맞춤형 인재 육성이 필요하고, 첨단의료기기, 소프트웨어, 인공지능(AI), IVD개발 종사자들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전문 교육기관 설립 또한 고민해야 한다. 한국폴리텍대학 원주캠퍼스 의료공학과에서는 실무 중심의 특화된 교육프로그램으로 현장 맞춤형 교육을 하고 있다.
반도체산업 육성과 더불어 기존 전략산업인 의료기기 분야와 바이오산업 성장을 위해 강원자치도는 인력 양성에 과감한 투자를 해야 글로벌 시장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