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일반

하태경 "김남국, 36억 위믹스 클레이페이로 교환…자금세탁된 30억 손에 쥐는 것"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윤재옥 "'김남국 코인' 자금세탁·부정한 정치자금 가능성"
"개인의 코인중독 문제 넘어 중차대한 비리 커넥션 의심"

◇무소속 김남국 의원[사진=연합뉴스]

국민의힘 하태경 의원은 국회 상임위 도중 코인 거래 의혹과 거액의 가상자산 보유 논란에 휩싸인 무소속 김남국 의원이 지난해 시세 36억원 상당의 위믹스 코인을 신생 코인 클레이페이로 교환한 것에 대해 19일 '자금 세탁' 의혹을 제기했다.

하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자금세탁 의혹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김 의원이 교환했다는 위믹스의 현금화 경로와 클레이페이를 만든 세력을 추적해야 한다"며 검찰의 신속하고 적극적인 수사를 촉구했다.

앞서 김 의원은 지난해 2월 15일 보유하고 있던 위믹스 코인 51만여개를 클레이페이 59만개로 교환한 것으로 각종 언론 보도를 통해 알려진 바 있다.

작년 1월 19일 출시한 클레이페이 시세는 당시 1천200원에서 3천원 이상으로 급등한 이후 급등락을 반복하다가 현재 300원 안팎에 머물고 있다.

이에 김 의원이 변동성이 큰 가상자산 위주로 공격적 투자를 하다가 큰 손실을 본 것이라는 추측이 나왔으나 하 의원은 "의원실에 들어온 제보에 따르면 코인 판에 자금세탁을 전문으로 하는 주가조작 세력이 많이 들어왔고 클레이페이가 그중 하나라는 것"이라며 투자 실패가 아니라고 주장했다.

하 의원은 이른바 '자금세탁' 과정에 대해 "김 의원은 36억 위믹스를 쓰레기에 불과한 클레이페이로 교환하고, 세력들은 위믹스를 거래소에서 현금화하고 일정한 수수료(제보에 따르면 20%)를 제하고 김 의원에게 현금으로 돌려준다"고 설명했다.

◇국민의힘 하태경 의원[사진=연합뉴스]

그는 "겉으로는 막대한 투자 실패로 보이지만 현실은 자금세탁이 된 30억의 현금을 손에 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 의원은 이어 "클레이페이를 만든 세력들은 2달 뒤 세상에서 완전히 자취를 감췄다"며 "완벽한 자금세탁이 이뤄지는 것이다. 그쪽 세계에선 이러한 과정을 은어로 '설거지'라고 한다"고 덧붙였다.

하 의원은 또 지난해 3월 25일 가상자산거래소의 실명화(트래블룰)가 시행됐다는 점을 지적하며 "이 때문에 김 의원은 '트래블룰' 시행 한두 달 전에 거래소의 코인을 모두 탈중앙화 개인지갑으로 옮긴 것이다. 자금추적을 피하기 위해서다"라고 주장했다.

그는 "김 의원은 상임위 회의 중에든 한밤중이든 가리지 않고 코인을 거래하는 중독자다. 이전 재산 신고 금액을 맞추기 위한 10억을 제외하곤 대부분 현금화하지 않고 재투자했다"면서 "(클레이페이로 교환한 36억원은) 애당초 김 의원이 돈이 아니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라며 "당시는 대선 기간이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자금세탁 의혹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김 의원이 교환했다는 위믹스의 현금화 경로와 클레이페이를 만든 세력을 추적해야 한다. 클레이페이 자체가 자금세탁이 목적이었다면 규모가 예상보다 더 커질 수도 있다"며 검찰 수사를 촉구했다.

◇국민의힘 윤재옥 원내대표가 1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 참석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국민의힘 윤재옥 원내대표도 이날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한 김 의원의 코인 거래 의혹과 관련해 "부정한 정치자금이나 자금세탁 가능성이 제기된다"고 주장했다.

윤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유동성이 풍부하고 안정적인 대형 거래소(업비트)에서 굳이 코인을 꺼내 복잡한 과정을 거쳐 개인지갑(클립)으로 옮기고, 자금출처에 대해 소명하지 못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윤 원내대표는 "김 의원의 코인 이체 경위가 추가로 밝혀짐에 따라, 이 사건이 의원 개인의 코인 거래 중독을 넘어 중차대한 비리 커넥션 문제는 아닌지 짚어보지 않을 수 없게 됐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미 P2E(Play to Earn·게임으로 돈 벌기) 불법 로비 의혹이 한차례 제기된 바 있는데, 조각난 퍼즐이 하나씩 알려질수록 의혹이 커지고 있기 때문에 빠른 수사를 통해 철저히 그 전모를 밝히는 게 필요한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윤 원내대표는 "민주당은 지금까지 알려진 내용만으로 국민 분노가 임계점을 넘고 있음을 직시해야 한다"며 "그런데도 친명(친이재명)계 의원들과 강성 지지자들은 '조국 수호'에 이어 '남국 수호' 모드에 돌입했다"고 비판했다.

또 "민주당은 드러난 증거와 거센 여론에 등 떠밀려 결국 뒤늦게 김 의원을 국회 윤리특위에 제소했지만, 과연 징계에 대한 의지가 있는지 의심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