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반

횡성·정선·평창·영월 1년만에 '소멸 고위험' 지정 … 내년 5개 지자체 '고위험' 가능성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지방소멸위험지수' 위험수위까지 하락
청년 인구 순유출 원인 … 원주도 급락
도내 194개 읍면동 중 154곳 고위험

◇2023년 2월 기준 시군구 기준 지방소멸위험 현황 <제공=한국고용정보>

지난해 소멸위험 초기단계였던 횡성, 정선, 평창, 영월 등 도내 4개 자치단체가 올해 소멸 ‘고위험지역’으로 떨어졌다. 4개 지자체의 가임 여성 인구가 고령자의 20%에도 미치지 못한 것으로 강원도내 시·군의 인구 소멸 현실화가 급격히 빨라지고 있다.

최근 한국고용정보원이 발표한 지방소멸위험지수(2023년 2월 기준)에 따르면 지난해 소멸 ‘진입지역’으로 분류됐던 도내 16개 시·군 중 횡성(0.186), 정선(0.189), 평창(0.189), 영월(0.192) 등 4개 지자체가 올해 소멸 ‘고위험지역’에 포함됐다.

지방소멸위험지수는 ‘20~39세 여성인구수’를 ‘65세 이상 고령인구수’로 나눈 값으로 표현된다. 소멸위험지수 값이 0.5 미만일 경우 ‘소멸위험지역’으로 구분되며, 이 중 0.2~0.5 미만은 ‘소멸위험진입’ 단계, 0.2 미만은 ‘소멸고위험’단계로 각각 구분된다.

강원도 4개 지자체를 포함해 전국에서 6곳이 올해 가임기 여성인구가 고령층 5분의 1에도 못 미치는 소멸 고위험지역으로 신규 진입했다. 이는 지역내 20~39세 청년층 인구가 빠르게 순유출 된데다 고령화가 심화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고용정보원에 따르면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간 춘천과 원주를 제외한 도내 16개 지자체에서 20~39세 청년 인구가 순유출됐다. 특히 고성(-30.0%), 영월(-29.5%), 태백(-28.8%), 삼척(-28.7%), 화천(-25.9%)은 청년 순유입률 하위지역으로 분류됐다.

문제는 도내 18개 시·군 모두 1년 전보다 지방소멸위험지수가 하락했다는 점이다.

비교적 저위험 지역인 원주가 도내 가장 많은 0.052포인트 하락했고 춘천도 0.032포인트 하락해 뒤를 이었다. 타 지역도 모두 0.01~0.03포인트 하락하면서 태백, 삼척, 홍천, 고성, 양양 등 5곳은 0.2~0.3 미만에 위치, 내년에 고위험지역으로 지정될 가능성도 있다.

읍면동별로 보면 올해 강원도내 194개 읍면동 중 154곳이 소멸 고위험지역으로 분류됐다.

한국고용정보원 관계자는 “소멸위험의 심화는 청년인구의 유출과 높은 관계가 있다”면서 “결국 일자리 기회와 일자리 질의 격차가 가장 중요한 원인인 만큼 지역 특성에 맞는 일자리 창출 대책이 필요하다”고 했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