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접종완료시 다중시설 제한 면제
위드 코로나 방안 본격 논의
청와대 반대청원 등 논란 확산
정부가 10월 말~11월 초 적용 예정인 단계적 일상 회복(위드 코로나)을 위해 ‘백신패스' 도입을 고려하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인터넷을 중심으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다.
‘백신패스'는 2차 접종까지 최종 완료했다는 증명서로 공공시설이나 다중이용시설을 이용할 때 제한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미접종자의 경우에는 PCR(코로나검사) 음성확인서를 지참하는 방식이 적용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PCR 음성확인서를 보유하지 않은 미접종자들은 카페, 식당 등도 드나들지 못할 것이라는 소문이 확산되면서 이들의 반발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1차 접종 뒤 가슴 통증을 느껴 병원 치료를 받고 있는 A(28·춘천)씨는 “백신 부작용이 생겨 2차 접종을 포기하는 사람도 있을 텐데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고 백신패스를 적용하는 것은 차별적 처사”라고 지적했다. 불안감 때문에 접종을 포기한 B(여·35·철원)씨 역시 “백신 부작용에 대한 불안감을 완벽히 해소시켜 주지 않는 상황에서 백신을 강요하는 듯한 정책에는 동의할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지난달 29일 청와대 국민청원에도 ‘백신패스'를 반대한다는 청원 글이 올라와 30일 오후 4시 현재 2만명 이상의 동의를 받고 있다.
반면 백신패스를 도입해야 한다는 의견도 만만치 않다. 접종완료자인 직장인 D(26·동해)씨는 “코로나19 극복을 위해선 집단면역 형성이 반드시 수반돼야 하기 때문에 미접종자는 무임승차자라고 생각한다”며 “백신패스는 접종완료자가 위험을 무릅쓰고 집단면역 형성에 기여한 것에 따르는 보상”이라고 주장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미접종자를 줄이고 감염에 취약한 고위험군을 어떻게 보호할 것인지의 방법론의 일환으로 백신패스를 고려하고 있다”면서도 “아직은 검토해야 할 내용이 많다”고 말했다.
권순찬·김도균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