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일반

'AI 이루다', 성희롱 이어 동성애 혐오 학습 우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페이스북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출시되자 마자 남초(男超) 사이트에서 '이루다 성노예 만드는 법' 이 등장해 사회적 논란을 부른 인공지능(AI) 챗봇 '이루다'가 이번에는 동성애 혐오를 학습한 것으로 보인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이재웅 전 쏘카 대표는 9일 페이스북에 "AI 챗봇 이루다를 악용하는 사용자보다, 사회적 합의에 못 미치는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한 회사가 문제"라고 비판했다.

이 전 대표는 이루다가 레즈비언이라는 단어에 "진짜 싫다, 혐오스럽다, 질 떨어져 보인다, 소름 끼친다"라고 답한 대화 캡처를 공유하면서 글을 올렸다.

그는 "기본적으로 차별과 혐오는 걸러냈어야 한다"며 "편향된 학습 데이터면 보완하든가 보정을 해서라도 혐오와 차별의 메시지는 제공하지 못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정의당) 장혜영 의원이 발의한 차별금지법이 제정되면 AI 면접, 챗봇, 뉴스에서 차별·혐오를 학습하고 표현하지 못하도록 강제해야 한다"며 "로직이나 데이터에 책임을 미루면 안 된다"라고 견해를 밝혔다.

그러면서 이 전 대표는 "이루다는 인공지능 기술적 측면에서 봤을 때는 커다란 진일보이지만, 지금은 서비스를 중단하고 차별·혐오에 대한 사회적 감사를 통과한 후에 서비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루다는 현재 '동성애'라는 단어를 포함해 질문을 던지면 무조건 "어렵다 뭔가"라고 똑같이 답하고 있다.

이루다가 동성애 혐오를 학습한 것 같다는 논란이 번지자 개발업체 측에서 장치를 마련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게이'나 '레즈비언', '퀴어' 등 다른 표현으로 동성애 관련 대화를 진행하면 "정말 싫다" 등의 혐오 반응을 보이는 중이다..

이루다는 스타트업 스캐터랩이 지난달 23일 페이스북 메신저 기반으로 출시한 AI 챗봇이다. 딥러닝 기반이라 이용자들과 대화를 나누면서 학습 데이터를 쌓고 있다.

이루다는 Z세대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는데, 일부 남초(男超) 커뮤니티에서 이루다를 성적 대상으로 취급하는 등 악용 사례가 드러나 사회적 우려를 낳고 있다.

이정훈기자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