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일반

확진자 만나도 마스크 썼다고 자가격리 제외?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접촉자 자가격리 대상 분류시 기준 모호해 논란

정부의 감염병 지침변경으로 일상접촉자와 밀접접촉자 구분이 사라지고 일괄 '접촉자'로 바뀌면서 자가격리 대상자 분류 기준이 논란이 되고 있다.

접촉 당시 마스크 착용 여부나 접촉 시간 등이 고려 대상이 되면서 확진자와 직접 대면한 일부 접촉자가 자가격리 대상에서 제외됐기 때문이다.

춘천시에 따르면 춘천 확진자 373번·374번 환자와 접촉해 자가격리에 들어간 춘천 거주자는 238명(26일 오전 10시 기준)이다. 이들은 확진자와 새명동 신천지센터에서 접촉했거나 고속버스 동승자, 택시기사 등이다. 또 남춘천역 인근 피자집 동료들은 마스크를 착용했지만 장시간 동일 장소에 머물렀기 때문에 자가격리됐다. 반면 374번 확진자가 만난 약국 직원이나 중국집 배달부는 일시 접촉한 데다 마스크를 착용했다는 이유로 자가격리 대상에서 제외됐다. 확진자들이 이용한 시내버스 기사들도 빠졌다.

그러나 현재 자가격리에서 제외된 일부 접촉자는 정부의 감염병 지침과 다르게 해석될 여지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정확한 기준과 판단이 요구되고 있다.

접촉자 관리는 2015년 메르스 사태 당시 밀접 또는 일상접촉자로 구분됐다. 일상접촉자는 확진자와 같은 공간 또는 동선에 있었지만 2m 이상 떨어져 만난 원거리 접촉자를 말한다. 밀접접촉자는 같은 공간 또는 동선에서 2m 이내 근거리 접촉자다. 하지만 격리 대상 결정 과정에서 공백이 발생할 여지가 있어 혼선을 방지하고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일괄 접촉자로 지침이 변경, 모두 2주간 격리된다.

이 기준에 따르면 약국 직원이나 중국집 배달부 모두 접촉자로 분류될 수 있다. 바이러스 확산에 대한 주민들의 불안감이 커지는 이유다.

춘천시 관계자는 “접촉자 중 자가격리 대상자는 역학조사관 판단에 따라 결정된다”며 “자가격리에서 제외됐지만 확진자와 만난 사람은 자율적으로 이상징후를 체크하고 보건소 등에 신고하라고 안내 중”이라고 말했다.

하위윤기자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