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웰빙라이프]운동후에 머리가 지끈 실내도 안전지대 아냐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건강 위협하는 유해물질 공기오염

실내 미세먼지·일산화탄소·세균 심각

폐·심장질환·어지럼증 등 질병 유발

하루 2~3차례 이상 반드시 환기해야

미세먼지로 인해 뿌연 대기를 보면 실외운동을 해도 되는지 망설여진다. 이 때문에 많은 사람이 공원과 운동장보다는 체육관, 헬스장으로 운동을 하러 가기도 한다. 미세먼지는 피했으니 실내에서 운동하는 것이 건강에 이로울까. 한국건강관리협회 강원지부의 자문을 통해 봄철 실내·외 운동에 대해 살펴본다.

■실내에도 유해물질=우리는 일상생활의 80~90% 정도를 실내에서 보낸다. 우리가 보내는 시간 중 직장에서 28%, 집에서 60%, 대중교통이나 자동차에서 7%가량이라는 연구 결과도 있다.

야외에서 보내는 시간은 5%에 불과하다. 운동 역시 최근 홈 트레이닝이나 헬스 등 실내 운동 비율이 많이 증가하는 추세다. 하지만 실내 환경 속 유해물질도 갈수록 종류와 범위가 커지고 있다. 오히려 외부 환경보다 우리의 건강을 더 위협할 수 있다. 카펫, 건축자재, 요리, 난방, 페인트, 애완동물의 배설물 등을 통해 발생하는 실내 유해물질은 200여 종에 달하고 환기하지 않는 생활 습관이 더해져 실내 공기를 오염시킨다.

실외 공기 오염으로 인한 사망자는 300만명 정도지만 실내 공기 오염으로 인한 사망자 수는 이를 훨씬 웃돈다는 WHO(세계보건기구)의 발표도 있다.

■대표적 실내 유해물질=실내 공간 속 대표적인 유해 물질인 벤젠은 실내에서 흡연하거나 시너 등을 사용할 때 발생하며 백혈병을 유발할 수 있다. 최근 새집증후군의 원인으로 지적받고 있는 포름알데히드는 눈의 충혈과 어지럼증 및 구토를 일으키며 건강을 위협한다. 화장실 등에 자주 두고 쓰는 방향제는 인공적인 향에서 배출되는 방향족 탄화수소(냄새를 발생시키는 특성을 가진 화합물)가 폐암을 일으키기도 한다. 실외뿐만 아니라 실내에서도 미세먼지가 발생하는데 미세먼지와 더 작은 초미세먼지는 혈관 및 장기에 축적돼 폐질환, 심장질환, 뇌졸중 등을 유발할 수 있다.

또 일산화탄소, 미세먼지, 세균, 석면 등은 인체 허용치를 넘어도 몸에서 감지하지 못할 때가 대부분이다. 특별한 증상이 없어도 우리 건강이 위협받을 수 있다는 말이다. 실내 공기 오염은 실외(대기) 오염보다 훨씬 낮은 농도에서도 오랜 시간 우리 몸에 영향을 미쳐 유해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환기가 필수=환기가 가장 중요하다. 하루에 2~3차례 이상, 창문을 한 뼘 정도 너비로 여는 게 좋다.

추위가 느껴진다면 2~3시간 주기로 1~2분가량 열어 놓는 것을 권장한다. 특히 대기 상승 및 확산이 잘 이뤄지는 오전 10시, 오후 2시 정도에 환기하면 더욱 효과적이다.

실내에서 먼지를 털거나 음식을 한 직후에는 실외 농도보다도 높은 미세먼지가 발생하므로 반드시 환풍기를 가동하고 창문을 열자. 적절한 온도와 습도 유지도 중요하다.

봄, 가을에는 21도, 여름에는 26도, 겨울에는 19도 정도를 유지하고 습도 역시 40~60%쯤으로 유지하자.

흡연은 수많은 유해물질을 발생시키므로 실내에서는 절대 금물이며 다 읽은 신문이나 쓰레기도 즉시 처리하는 것이 좋다. 실내 리모델링을 하거나 새 가구를 구매할 때는 되도록 환기가 잘 되는 여름철을 활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고무나무나 시클라멘 같은 공기 정화 식물로 유해물질의 농도를 낮추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실내 운동 전, 몸의 반응을 확인=사이클, 매트 등 실내 운동기구에도 유해물질 발생 요소가 있다.

홈 트레이닝을 한다면 운동 전후에 반드시 창문을 열어 충분히 환기해야 한다. 또 헬스장, 체육관 등에서 운동을 할 때는 환풍시설이 적절하게 갖춰져 있는지 확인하고 휴식 시간 틈틈이 실내를 벗어나는 것도 좋다.

리모델링한 건물이나 새 건물이라면 유해물질이 제거되는 데 1~2년 정도가 소요되므로 운동 시작 전 몸 상태를 점검해 봐야 한다. 두통, 어지러움, 메스꺼움이나 눈이나 피부에 자극이 느껴지지 않는지 확인하고 본격적인 운동을 시작할 것을 권장한다.

최기영기자 answer07@kwnews.co.kr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