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일반

[생물이야기]외국어 발음 어색한 이유는 코모양 때문

권오길 강원대 명예교수

나라별로 코 크기·구조 달라

공명에 따른 비음 등 큰 차이

'코가 높다, 콧대를 꺾는다, 코대답한다, 코에서 단내가 난다, 눈코 뜰 사이 없다, 코 꿰이다, 코빼기도 못 보다, 코가 빠지게 기다렸다, 자빠져도 코가 깨진다, 내 코가 석 자라, 코 베어갈 세상, 코 묻은 돈, 엎어지면 코 닿을 데' 등등 코에 얽힌 속담을 찾아보니 무려 99가지나 있었으니 예전 사람들도 코를 틀림없이 무척 중시했던 몸의 일부로 여겼음을 이르는 것이리라.

그중에서 아니꼽거나 못마땅하여 남의 말을 들은 체 만 체 말대꾸 아니 할 때를 '콧방귀를 뀌다'라 한다지. 아무튼 조붓한 숨통구멍 하는 일이 이리도 많다. 그리고 '귀 잘생긴 거지는 있어도 코 잘생긴 거지는 없다'고 이렇게 자못 관상, 운명을 결정하는 중요한 포인트가 코다.

또 '눈이 아무리 밝아도 제 코는 안 보인다'고 하는 건데, 얼굴의 제일 중앙에 오뚝 솟아 있어 딴 사람의 눈에 가장 잘 띄는 곳이다. 또 억지춘향인지 몰라도 돌멩이가 날아들어도 제가 먼저 맞아서 눈을 보호한다.

아무튼 이목구비(耳目口鼻) 넷이 곱게 아우러져야 미모(美貌)가 되는 것인데, 코빼기 하나도 너무 낮아도 높아도, 펑퍼짐해도 날카롭게 뾰족해도 미인의 코가 아니다. 요새는 그 따위 코들은 하나같이 칼을 맞는다. 성형수술의 대상이란 말이다. 그런데 얼굴 위에 솟은 콧등성이는 탄성물렁뼈(연골·軟骨)로 되어 있기에 성형이 쉽고, 귀 또한 물렁뼈라 전쟁터에서 귀를 잘라갔다. 만일 콧잔등이나 귓바퀴가 딱딱한 뼈(경골·硬骨)였다면 어떤 일이 벌어졌겠는가. 다 으스러지고 바스러져 누구 하나 제 모양을 한 사람이 없을 뻔했다. 연골인데도 눌려 뭉개져버린 레슬링 선수들의 귀때기를 보라.

그리고 코는 공명(共鳴)에도 매우 중요하다. 감기에 걸리면 '코맹맹이 소리'에 제 음색이 나지 않는 것은 점막이 부어올라 비강(鼻腔·공명기)의 틀이 바뀐 탓이다. 그리고 외국어를 아무리 잘해도 본토 발음과 똑같이 하기가 어려운 것은 코의 크기나 구조가 다르기 때문인데 특히 비음(鼻音)의 프랑스어가 그렇다.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