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신문협회(회장:이병규)는 지난 10일부터 이틀간의 일정으로 2016 신문사 NIE(신문활용교육) 워크숍을 개최했다. 교육현장의 NIE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한 이 자리에서 2015 개정교육과정에 맞춰 학교 수업에서 매체를 활용한 융합 교육이 확대될 전망인 가운데 이를 위한 수업 방법으로 '신문 리터러시'가 가장 적합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날 워크숍에서 발제를 맡은 옥현진 이화여대 교수(초등교육과)는 “교육현장의 국어나 사회 등에서 기존 '리터러시'의 정의와 개념이 확장되어야 하며, 교육현장에서 그 대안으로 신문을 활용하자는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옥 교수는 “신문 리터러시는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미래사회 핵심역량 육성이라는 목표와 신문사들의 강점인 시사성 있는 정보·다양한 교육 콘텐츠·디지털 인프라의 제공 등을 고려해 볼 때 학교 수업에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1991년 제정된 미국의 국가문해법(National Literacy Act)에서는 리터러시를 “읽기, 쓰기, 말하기와 식별·이해·해석·창작·소통, 종합 및 문제 해결을 위한 개인 능력”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한편 워크숍에 참석한 24개 회원사는 신문 리터러시를 위해 NIE 교재이자 재료인 신문을 정부 차원에서 지원해야 한다는 데 한목소리를 냈다.
안윤희 어린이강원일보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