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교육·NIE]“긴장감 떨치고 실력 발휘하세요”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

17일 수능 … 불안감 극복법

시험 직전 최근 즐거웠던 일 떠올리자

감사한 일을 시험지에 적어두자

문제 풀기 전 간단한 심호흡을 하라

가벼운 스트레칭으로 스트레스 해소하라

모든 것 다 이룬 본인의 모습 상상하자

오로지 시험 문제에만 집중하라

수능 당일 시험이라는 불안감과 긴장감을 떨쳐버리기 위해서는 마음가짐이 중요하다.

제한된 시간 안에 그동안 공부했던 내용을 바탕으로 정확한 판단을 하기 위해서는 자기조절력과 자기동기력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자기조절력이란 스스로 세운 목표를 향해 꾸준히 노력하는 힘이며, 자기동기력이란 스스로에게 동기와 열정을 부여하는 힘을 말한다.

㈜유웨이중앙교육의 도움으로 수능에 대한 불안감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들을 살펴보자.

시험 보기 직전에는 최근 즐거웠던 일 몇 가지를 떠올리자. 시험 직전에 긍정적 정서를 끌어내는 습관은 매우 중요하다. 시험 전에 최근 즐거웠던 일 몇 가지를 시험지에 적어 놓으면 점수가 평소보다 올라갔다는 연구 결과도 있는 만큼 편안한 마음이 문제 풀이에 도움이 된다. 시험 직전 자신의 장점을 떠올리거나 자신이 잘하여 칭찬받았던 경험을 떠올려 보는 것이 좋다. 그러면서 '나는 잘할 수 있다'는 자기 암시를 계속해야 한다.

감사한 일도 수능 시험지에 적어두자. 또한 시험장으로 향하면서 부모님의 보살핌에 대한 감사인사를 하는 것, 혹시 시험장에 나와 계신 학교 선생님에 대한 감사인사도 잊지 말자. 감사하기는 나의 긍정이자 상대에 대한 긍정이다. 감사한 일을 떠올릴 때에 사람의 뇌와 몸은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런 상태가 되면 자기조절력 중 긍정심이 커져 시험을 잘 보게 된다.

시험 풀기 전 간단한 심호흡을 하라. 시험 보기 전 두려움을 갖는 수험생이 대다수다. 이렇게 되면 집중력도 떨어지고 판단력도 흐려져서 문제 풀이 능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이럴 때 심호흡을 천천히 하면 긴장감이 다소 풀린다.

또한 심호흡과 더불어 눈을 감고 짧게라도 명상을 병행하면 긴장감을 푸는 데 도움이 된다.

시험 전 가벼운 스트레칭으로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뭉친 근육을 풀어주자.

스트레스가 시험의 가장 큰 적이다. 쉬는 시간 조급한 마음에 한 문제라도 더 풀기 위해 오로지 문제집을 보기보다는 잠깐이라도 시간을 내 스트레칭을 하면서 호흡을 하고 목과 어깨를 풀어주자.

스트레칭은 뇌 안의 혈액순환을 향상시켜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사고 능력을 증진시킨다. 또한 집중력과 침착성을 높이고 충동성은 낮추는 효과가 있다.

모든 것을 다 이룬 본인의 모습을 상상하자.

시험을 잘 보았을 때 다가올 합격의 기쁨을 미리 상상해 보자. 그럼 자신의 일을 잘 할 수 있다는 자신감, 효능감, 능력성장 믿음 등 자기동기력이 생겨서 큰 실수 없이 시험을 치를 가능성이 크다.

시험을 두려워하지 않기 위해서는 시험 불안증을 없애야 한다. 남들보다 좋은 점수를 얻어야 한다는 마음가짐으로 시험을 치르는 것은 좋지 않다.

점수에 집착하거나 남보다 우위를 점해야 한다는 목표로는 제대로 실력을 발휘하기 힘들다. 시험을 치를 때면 오로지 시험 문제에만 집중하도록 하자.

장현정기자hyun@kwnews.co.kr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