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르포]“눈앞에 변전소 생기는데 보상 더 적어” 평생 송전탑과 살아온 마을 ‘한숨’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정부 ‘345kV 신평창~신원주 송전선 건설사업’ 본격 추진
기존 765kV 송전선로 설치된 평창 하안미1리 반발 거세
행정구역상 인근 마을에 변전소 설치돼 보상 더 적은 상황
한전 “보상기준 법과 내규로 정해져 개별적 조정 어려워”

◇수십년 전에 평창 대화읍 하안미1리에 세워진 765kV 송전탑. 일반 전선까지 어지럽게 뒤덮여 마을 전경이 훼손되고 있다.
◇수십년 전에 평창 대화읍 하안미1리에 세워진 765kV 송전탑. 일반 전선까지 어지럽게 뒤덮여 마을 전경이 훼손되고 있다.

평창군 대화면 하안미1리에 들어서자 마을을 관통하는 거대한 주황색 철탑의 위용에 압도됐다. 눈에 보이는 것만 5~6기, 국내 최고 전압 등급인 765kV 송전탑이다. 수십m 철골 구조물에 다가가자 정체모를 ‘지잉~지잉~’ 소리가 끊임없이 들려왔다.

조하형 하안미1리 이장은 "60대인 제가 어릴 때 저 철탑이 생겼지만, 당시 보상도 제대로 못 받았다"며 "마을 발전은 고사하고 경관 훼손, 전자파 불안에 평생 시달려왔다"고 회상했다.

그런 이 마을에 또다시 345kV 송전선 및 이를 기존 765kV 송전선에 연결하는 변전소가 인근에 들어선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주민들은 다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정부는 동해안에서 수도권 반도체클러스터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345kV 신평창~신원주 송전선 건설사업’을 본격 추진 중이다. 전체 구간은 78㎞에 달하며, 평창·횡성·영월·원주, 충북 제천 등을 경유한다. 평창에서는 대화면, 방림면, 평창읍 3개 지역의 19개 마을이 경과대역 예정지에 포함됐다.

하안미1리는 마을 바로 옆에 신규 변전소가 들어서지만, 설치 부지는 행정구역상 인접 마을로 분류돼 상대적으로 보상을 덜 받게 됐다. 더욱이 송전선로에서 1㎞ 이내 지역만 보상 대상이 되면서 마을 전체 가구 중 70%만 보상 대상에 포함되고, 나머지 30%는 제외돼 주민 간 갈등도 불거지고 있다.

조 이장은 “마을 거주지 가까이 생기는데도 인접 마을보다 보상은 더 적은데다, 같은 마을에서도 누구는 보상받고 누구는 못 받는다니 말이 되느냐”며 “주민 간 의견대립으로 번져 모두가 지쳐가고 있다”고 토로했다.

◇하안미1리 조하형 이장(사진 왼쪽)과 김교영 변전소반대추진위원장이 마을 가까이 신규 변전소가 생기는 부지(노란색 타원 표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해당 부지는 행정구역상 다른 마을이지만 이 마을 거주지역에 훨씬 가까운 위치다.

하안미1리뿐 아니라 경과지로 예정된 다른 마을들도 불만이다. 지난 9월 말 평창에서 열린 경과대역 사업설명회에서는 한전측이 ‘가전제품보다 전자파가 적다’고 설명하자 “24시간 고압이 흐르는데 납득할 수 없다”며 “보상금을 덜 주기 위해 하는 말일 뿐”이라는 반발이 나왔다.

인근 충북 제천에서는 주민 결의대회가 열리고 군정과 의회까지 나서며 반발이 확산됐다. 이에 제천 경유 구간은 최근 계획이 연기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한전측은 보상 기준을 개별 마을 상황에 따라 조정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입장이다.

한전 관계자는 "보상은 변전소나 송전선로의 일정 반경 내 토지·주택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원칙이며, 그 기준을 벗어나면 제도 자체가 무너진다"며 "하안미1리 주민 입장은 충분히 공감하지만 보상 원칙상 예외를 두긴 어렵다"고 말했다. 이어 “국내 송전선 전자파는 국제 권고 기준보다 훨씬 낮고, 지난 9월 특별법 시행 이후 발전기금 조성, 전기요금 감면 등 지원이 대폭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사업 예정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