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사고

[속보]울산화력발전소 붕괴로 추가 발견된 매몰자 3명은 사망 추정"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6일 오후 울산시 남구 용잠동 한국동서발전 울산발전본부 울산화력발전소 60m 높이 보일러 타워가 무너졌다. 이 사고로 2명이 구조됐고, 사망자를 제외한 6명은 여전히 매몰돼 있다. 2025.11.6 연합뉴스
◇6일 오후 울산시 남구 용잠동 한국동서발전 울산발전본부 울산화력발전소 60m 높이 보일러 타워가 무너졌다. 이 사고로 2명이 구조됐고, 사망자를 제외한 6명은 여전히 매몰돼 있다. 2025.11.6 연합뉴스

속보=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에서 60m 높이 보일러 타워가 무너지면서 매몰된 작업자 가운데 1명이 끝내 숨진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사고로 인한 첫 사망자다.

울산소방본부는 7일 "구조 작업 중 심정지 상태로 발견된 매몰자가 의료진에 의해 이날 오전 4시 53분 사망 판정을 받았다"고 밝혔다.

사망자는 사고 발생 약 1시간 뒤 구조물과 지면 사이 틈에 끼인 채 발견돼, 소방 당국이 집중적으로 구조를 시도해 온 인물로 파악됐다.

위치가 파악된 다른 매몰자 3명도 숨을 거둔 것으로 소방 당국은 추정했다. 나머지 3명은 생사는 물론 매몰 위치조차 파악되지 않고 있다.

◇6일 오후 울산시 남구 용잠동 한국동서발전 울산발전본부 울산화력발전소 60m 높이 보일러 타워가 무너졌다. 이 사고로 2명이 구조됐고, 사망자를 제외한 6명은 여전히 매몰돼 있다. 2025.11.6 연합뉴스

전날 오후 2시 2분께 한국동서발전 울산발전본부 울산화력발전소에서 60m 높이 보일러 타워가 무너져 9명이 매몰됐다. 2명은 구조됐고, 사망자를 제외한 나머지 작업자들은 수색 중이라고 소방 당국은 전했다.

소방청은 국가소방동원령을 발령하고 인접 부산·대구·경북 소방본부 특수대응단과 중앙119구조본부 인력을 투입해 구조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다만, 실제 구조까지는 적지 않은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한다. 현장에는 구조견과 드론, 응급환자 이송용 대형 소방헬기, 야간작업에 대비한 조명차 등도 배치했다.

크레인이 현장에서 안전하게 구조 작업을 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춰야 하기 때문이다.

붕괴한 구조물이 안정화돼 있다고 판단되면 구조물 일부를 절단해 부분적으로 철거하면서 구조 작업을 벌이는 방법도 논의되고 있다.

사고가 난 보일러 타워는 전기 생산 위한 터빈을 돌리는 데 쓰이는 증기를 만드는 설비다. 1981년 준공돼 사용되다가 40년이 지난 2021년부터는 수명이 다해 가동이 중단됐다.

이후 HJ중공업이 시행사를 맡고, 코리아카코(발파업체)가 하도급받아 지난달부터 철거 작업을 진행하던 중 이번 사고가 발생했다.

이날 사고 당시 코리아카코 직원들은 발파해서 철거하기 위한 취약화 작업(기둥 등 구조물을 잘라내서 잘 무너지도록 하는 작업)을 하고 있던 것으로 파악됐다.

◇6일 오후 2시 7분께 울산 남구 용잠동 한국동서발전 울산발전본부 울산화력발전소에서 60m 높이 보일러 타워가 무너졌다. 사진은 붕괴 현장. 2025.11.6

울산화력발전소 붕괴 사고로 매몰된 7명 가운데 1명이 숨을 거둔 것으로 확인되자,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은 "고인에 대한 깊은 애도를 표한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과 공동으로 이날 오전 '울산 화력발전소 붕괴사고 중앙사고수습본부' 2차 회의를 열고, 지난밤 구조 상황 점검과 2일 차 구조작업 방향 등을 논의했다.

김 장관은 유가족에게 심심한 위로의 마음을 전하며, 나머지 매몰자가 무사히 돌아올 수 있도록 소방청을 중심으로 구조작업에 만전을 기할 것을 요청했다.

또 보건복지부와 안전보건공단에 트라우마센터 운영을 통해 부상자와 사고 목격자에 대한 심리상담이 이뤄질 수 있도록 조치해 달라고 당부했다.

김은 "구조의 골든타임이 지나기 전에 가능한 인적·물적 자원을 총동원해 신속한 구조를 해달라"며 "발전소 건설·해체 등 유사 현장에 대해서도 안전 점검을 실시해 유사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