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AI(인공지능) 대전환’을 위해 예산을 집중 투자하기로 한 가운데 강원 지역이 예산 배정에 소외되어선 안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에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겸 부총리는 강원 지역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에 적극적인 지원을 약속했다.
더불어민주당 송기헌(원주을) 국회의원은 6일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종합정책질의를 통해 "정부가 제출한 2026년도 예산안에서 인공지능(AI) 관련 사업 대부분이 기존 지정된 선도지구를 중심으로 편성됐다"고 우려했다.
송 의원은 "AI 관련 예산이 광주, 전북, 대구 등 이미 지정된 선도지구에 집중됐다"며 "강원과 충청은 국가적 AI 대전환에서 소외되고 있다. 이렇게 예산이 시작되면 선도지구로 지정되지 않은 지역은 더 뒤처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강원도의 사례를 들어 "강원도는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 글로벌 경쟁력이 있다. 디지털헬스케어 규제자유특구에 130여 개의 의료기기 기업과 3개 대학, 2개 국책기관이 있다"며 "의료 AX 산업의 최적지로서 충분한 기반을 갖추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강원과 충청은 인구소멸의 대표 지역으로 꼽히는데, 이번 예산에서 전혀 고려되지 않은 것은 편성 취지와 맞지 않는 것이라 생각한다. 지역균형발전이 예산 편성의 핵심 키워드라면 더 신경써달라"고 당부했다.
이에 대해 구윤철 부총리는 "강원 지역 국민들이 보면 실망하실 것 같다. AI 대전환 있어서 강원 지역도 응당 함께 참여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이어 "강원 지역은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 준비가 굉장히 잘 돼 있고 이를 기반으로 하는 AI융합 혁신센터 구축사업 예산이 작지만 내년도에 반영돼 있다. 작동하는 것을 살펴 보고 전문가, 지역 사회와 협의해서 이 부분을 키워나갈 수 있게 하겠다"고 약속했다.
송 의원은 이날 성과가 입증된 지역 주도형 청년 일자리 사업이 폐지된 것에 대해서도 지적하며 재검토를 당부했다. 또 민주당 강원 영동지역 가뭄·물부족 사태 해결 특위 위원장을 맡고 있는 송 의원은 이날 민주당 정청래 당대표, 한병도 예산결산특별위원장, 한정애 정책위의장, 김중남 강릉지역위원장과 만나 강릉 가뭄 사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역량 집중에 나서기로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