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해 농사를 한순간에 망치는 벼 깨씨무늬병에 농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다만 정부가 최근 벼 깨씨무늬병을 농업재해로 공식 인정하면서 재난지원금 지급이 가능해졌다.
춘천시 신북읍에서 벼농사를 짓는 이유진(56)씨는 추수를 앞둔 1만평 규모의 벼 이파리에 암갈색 반점이 번져 허탈함을 감추지 못했다.
이 씨는 “습기에 취약한 병인데 올여름에는 하루걸러 비가 와 방재 시기를 예측하기도 힘들었다”며 “전년대비 수확량이 30% 이상 줄어 막막하다”고 말했다.
올해 이상고온과 잦은 비로 춘천, 강릉 등의 벼 재배 농가를 중심으로 깨씨무늬병이 확산됐다.
이에 농림축산식품부는 농가 피해 최소화를 위해 지난 14일 농업재해대책심의위원회를 열고 벼 깨씨무늬병을 농업재해로 인정했다.
이에 피해 발생 농가는 농약대, 작물을 다시 심는 대파대, 생계지원을 위한 재난지원금을 받게 된다. 재난지원금의 경우 1㏊당 농약대는 81만원, 대파대는 372만원, 생계지원비는 120만5,000원(2인 기준), 187만2,700원(4인 기준) 수준이다.
또 농업정책자금 상환 연기와 이자 감면도 지원하기로 했다. 농가경영을 위해 추가 자금이 필요한 경우 금리 연 1.8%의 재해대책경영자금 등도 융자받을 수 있다.
강원특별자치도 친환경농업과 관계자는 “재해로 고생한 농민들의 생활을 안정시키고 다음해 농사를 준비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정치권에서는 이번 정부의 결정을 환영하면서도 강력한 피해 대책을 촉구했다. 진보당 강원특별자치도당은 16일 논평을 내고 “벼 깨씨무늬병의 농업재해 인정에 발맞춰 누락 없는 피해조사를 통해 실질적인 복구대책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번 재해의 핵심은 수확된 벼의 품질을 결정하는 지표인 등숙률”이라며 “피해조사가 수확량 감소만 반영하지 않고 등숙률 감소를 비롯해 종합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