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년 뒤인 2028년 춘천~속초 동서고속철, 강릉~제진 동해북부선 고속철, 여주~원주 고속철이 동시에 개통한다.
3개 사업의 투자비용을 모두 합하면 4조5,000억원에 달할 정도의 대역사(大役事)로 사실상 강원 전역이 고속철 시대를 맞이한다.
춘천부터 속초까지 93.7㎞를 연결하는 춘천~속초 동서고속철도는 2028년 하반기 개통 예정이다. 서울 용산부터 속초까지 99분에 주파한다. 춘천 화천 양구 인제 백담 속초 6개역을 경유한다.
강릉~고성 제진 110.9㎞를 연결하는 동해북부선도 2028년 개통한다. 부산부터 국토 최북단 고성까지 동해선 철도가 모두 연결된다.
서울과 원주 등 남부권을 40분대에 연결할 여주~원주 고속철도 역시 2028년 개통을 목표로 한다.
동해선 유일한 저속구간인 삼척~동해~강릉을 고속화하는 사업과 영서 중부내륙과 수도권을 연결할 용문~홍천 광역철도까지 올 연말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하면 2028년을 기점으로 강원 전역의 고속화시대가 시작된다.
물론 과제도 있다. 천문학적인 예산이 투입되는 사업인 만큼 지속적인 예산 확보가 이뤄져야 한다. 2027년 춘천~속초 동서고속철의 필요 예산은 9,000억원, 강릉~제진 철도는 1조2,000억원에 달한다.
김시성 도의장은 “춘천~속초 동서고속화철도 개통 시 화천·양구·인제 등 3개 접경지역과 속초시는 수도권과 일일생활권이 돼 유입인구가 극대화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아직 일부 철로 구간의 토지 보상이 이뤄지지 않은 점을 지적하며 “올해 예산이 3,000억원 가량 확보됐어야 했지만 토지 보상 문제에 따른 유보금이 많아 예산이 기대보다는 적었다”며 “내년이면 토지 보상 문제도 원활히 해결돼 점차 예산 규모도 커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삼척~동해~강릉 고속화철도와 용문~홍천 광역철도 예타 통과에 청신호가 켜졌으나 방심은 금물이다.
유상범 국회의원은 “지난해 확정된 제4차 대도시권 광역교통시행계획에 전국 47개 사업, 69조원이 포함됐으나 강원도 사업은 8,500억원 규모 용문~홍천 광역철도가 유일하다”며 “예산으로 따지만 1.2%에 불과하다. 이런 현실을 감안해 용문~홍천 광역철도의 예타 통과는 강원 내륙권의 균형 성장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