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일반

[속보]국가 전산망 '심장' 마비…대전 본원 화재로 정부서비스 647개 중단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정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에 ‘중대본’ 격상… 위기경보도 ‘심각’으로

◇26일 오후 8시 20분께 대전 유성구 화암동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리튬배터리 화재가 발생, 소방당국이 진화작업을 벌이고 있다. 연합뉴스

국가 주요 업무를 처리하는 정부 전산망의 핵심 시설인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 본원에서 화재가 발생해, 647개 정부 업무 시스템이 가동을 멈췄다.

사고는 26일 오후 8시 15분, 대전 본원 전산실 내 리튬이온배터리에서 발생한 화재로 촉발됐다.

정부는 화재 직후 서버 등 전산장비 보호를 위해 선제적으로 시스템을 셧다운했다고 설명했지만, 정부 온라인 서비스가 사실상 ‘먹통’이 되며 공공서비스의 취약성이 드러났다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 전산실 배터리서 불…정부 "장비 보호 위한 선제 조치"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전산실 내 **무정전 전원장치(UPS)**를 지하로 이전하던 중 불꽃이 튀면서 리튬배터리에 불이 붙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 UPS는 전산시스템에 끊김 없이 전기를 공급하는 장치로, 전산실 핵심 장비 중 하나다.

화재는 58V 리튬배터리 12개씩 수납된 캐비닛 16개 중 절반인 8개에 피해를 입혔고, 내부 배터리 다수가 소실됐다.

열기로 인해 전산실 온도 조절을 담당하는 항온항습장치가 작동을 멈추자, 국정자원관리원 측은 장비 손상을 우려해 전체 시스템의 전원을 차단했다.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은 27일 정부서울청사 브리핑에서 “화재로 항온항습기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서버 과열이 우려됐고, 시스템 보호를 위해 가동을 선제 중단했다”고 밝혔다.

◇ 1,600개 시스템 중 647개 마비…국민 서비스 차질 불가피

국정자원은 대전 본원을 포함해 광주·대구 센터까지 총 1,600개 정부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는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다.

이 중 647개 시스템이 대전 본원에서 운영 중이었고, 모두 셧다운되면서 국가 전산망의 3분의 1 이상이 멈춰 선 상황이다.

정부는 우체국 금융·우편 등 파급력이 큰 대국민 서비스부터 우선 복구하겠다고 밝혔지만, 아직 화재 진압 직후의 열기와 소방 점검으로 인해 복구 작업에 착수조차 못한 상태다.

김 차관은 “현재 항온항습기 복구를 우선 진행 중이며, 이후 서버 재가동과 함께 단계적으로 복구 조치를 하겠다”고 설명했다.

◇ 세금 납부·서류 제출 기한 연장…“대체 서비스 안내”

정부는 서비스 장애로 인한 국민 불편 최소화를 위해 세금 납부·서류 제출 등의 기한을 정상화 이후로 연장하기로 했다.

김 차관은 “민원 처리가 지연돼 국민 불이익이 발생하지 않도록 유관기관에 안내했으며, 오전 8시에는 재난문자를 통해 서비스 제한 사실을 국민께 알렸다”고 밝혔다.

또 “불편하더라도 기관의 안내에 따라 대체사이트나 오프라인 창구를 이용해달라”고 당부했다. 대체 서비스 정보는 네이버 공지를 통해서도 확인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 복구는 ‘안갯속’…정확한 피해조차 아직 파악 못해

하지만 리튬배터리의 열폭주 특성상 진화에 시간이 오래 걸려, 27일 오전까지도 내부 진입이 불가능한 상태였다.

이 때문에 어떤 시스템이 작동 불가 상태인지조차 파악이 되지 않고 있으며, 복구 우선순위조차 정하지 못한 상이다.

정부는 이번 사태에 대응하기 위해 위기상황본부를 가동하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로 대응 수준을 격상했지만, 국가 전산망의 핵심 거점이 정상화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이재용 국정자원관리원 원장은 “화재 원인은 감식을 통해 확인해야 하며, 열기가 완전히 빠지고 소방 안전 점검이 끝나야 복구 가능 시점을 알 수 있다”고 밝혔다.

◇ “국민께 송구…신속 복구 총력”

김 차관은 거듭 사과하며 “이번 장애로 국민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큰 불편을 드린 점, 진심으로 죄송하다”며 “신속한 복구와 안정화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27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브리핑실에서 열린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정부 서비스 장애 관련 브리핑'에서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을 비롯한 참석자들이 인사하고 있다. 왼쪽부터 윤상기 소방청 장비기술국장, 이용석 행정안전부 디지털정부혁신실장, 김 차관, 이재용 국가정보자원관리원장. 연합뉴스

정부는 국가 전산망의 핵심기관인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 사태에 대응하기 위해, 기존 위기상황대응본부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로 격상했다고 밝혔다.

행정안전부는 이날 오전 윤호중 장관 주재로 ‘국정자원 화재에 따른 행정정보시스템 장애 대응 상황판단회의’를 열고, 대응 체계를 최고 수준으로 상향하기로 결정했다.

아울러 ‘행정정보시스템 재난 위기관리 표준매뉴얼’에 따라 위기경보 수준도 기존 ‘경계’에서 ‘심각’ 단계로 격상했다.

이번 조치는 화재로 인해 정부의 주요 온라인 행정서비스 이용이 제한되면서, 보다 강력한 대응 체계를 가동할 필요성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행안부는 국민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포털사이트 네이버 공지(https://m.naver.com/notice)를 통해 행동요령을 안내했다.

이는 행안부 홈페이지와 정부24 등 주요 정부서비스 누리집들이 국정자원 화재 여파로 접속 장애를 겪고 있기 때문이다.

공지문에서는 민원서류 처리를 위해 행정기관을 방문할 경우, 사전에 해당 서비스의 이용 가능 여부를 전화로 확인해달라고 요청했다.

또한 현장에서도 처리 지연이나 제한이 있을 수 있다며 양해를 구했다.

정부는 대체 서비스 이용을 안내하며, 민원서류 발급을 위한 경로로 다음과 같은 사이트들을 제시했다: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 http://efamily.scourt.go.kr

교통민원24: https://www.efine.go.kr

세움터: https://www.eais.go.kr

홈택스: https://www.hometax.go.kr

국민건강보험: https://www.nhis.or.kr

농업e지: https://nongupez.go.kr

행안부는 “각 행정기관은 자체 업무연속성 계획에 따라 전산업무가 중단될 경우에도 수기 접수, 처리기한 연장, 대체절차 안내, 소급적용 등을 통해 국민 불이익을 최소화하도록 조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윤호중 장관은 “정부는 이번 사태를 조속히 복구하기 위해 모든 가용 역량을 총동원하고 있다”며,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