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과 호우, 실종자 수색 등 모든 재난의 최전선에 선 강원지역 소방관들이 지난해보다 잦은 현장 투입에 피로 누적을 호소하고 있다.
강원도소방본부에 따르면 올해 5월15일부터 8월18일까지 온열질환으로 구급차가 출동한 건수는 총 108건, 이송된 환자는 87명이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7.4% 증가한 수치다.
폭염 속 현장에 투입되는 소방대원들은 20㎏ 이상의 보호 장비를 착용한 채 화재진압, 구조·구급 활동에 나서고 있다.
벌집 제거 등 일부 현장은 절단기·도끼·랜턴 장비까지 총 40㎏에 가까운 무게를 짊어져야 하는 탓에 탈수·열경련 등 온열질환 위험에 직접 노출된다.
올해 벌집 제거 출동은 9,418건으로 하루 평균 99건에 달한다.
도소방본부는 지난달 가평지역 실종자 수색 지원에도 투입돼 교대 인력 273명과 차량 100대가 12일간 현장에서 수색 작업을 벌였다.
동시에 도내에서는 집중호우로 인한 도로 침수, 차량 고립, 토사 유출, 주택 피해 복구 등 305곳의 현장에 출동했다. 이 밖에도 식수와 생활용수 공급을 위한 급수 지원도 84건, 총 674톤에 이른다. 노후 아파트 안전 컨설팅 등 도내 11만7,954개 대상물에 대한 안전 조사와 지도점검도 병행하고 있다.
소방대원들이 온갖 재난 현장에 투입되며 누적 피로도가 한계에 다다르자 도내 일부 대원들은 현장 대응력 유지를 위한 제도적 뒷받침을 마련해달라고 촉구하고 있다.
강원도 119대원 A씨는 “여름을 무사히 넘기기 위해선 현장에 선 대원들의 건강과 안전이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며 “이러다 갑자기 대형 화재 사고라도 나면 대응을 제대로 못 할까 걱정이 된다”고 토로했다.
김승룡 도소방본부장은 “대원들의 건강과 안전이 곧 도민의 안전과 직결되는 만큼 유사시 대비 회복지원차 현장 배치 등 대원들의 안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