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일반

강원 농민단체, “한미 관세협상 관련, 정부는 농업인 희생 강요말 것” 즉각 반발

미국 측 요구사항…미국산 사과수입, 수입쌀 추가 개방, 30개월 이상 소고기 수입
“15만 강원 농업인 희생할 여력 없다”… 곡물 자급률 20%·고령 농가 현실에 정부 각성 촉구

지난달 22일 대미 관세 협상 위해 미국 향하는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사진=연합뉴스

강원특별자치도 농업인단체총연합회는 한미 관세협상에 따른 통상과 관련해 15만 강원 농업인의 이름으로 더 이상 농업인의 희생을 이용하지 말 것을 촉구했다.

도 농업인단체총연합회 등 10개 단체는 16일 성명서를 통해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최근 세종정부청사에서 미국의 농산물 개방 요구에 ‘전략적 판단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힌 것과 관련, 농업의 고통을 다시 감내해야 한다는 취지의 발언은 정부가 농업을 희생시키겠다는 뜻으로 해석되며, 이는 도내 농민들의 분노를 일으킬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현재 우리나라의 곡물 자급률은 20%에 불과하고, 연평균 농업소득은 1,000만원 이하”라며 농가 부채는 역대 최대 수준이다. 농가 경영주 중 70% 이상이 60대 이상 고령 농업인으로, 더는 희생할 여력이 없다”고 강조했다.

현재 미국의 요구사항은 미국산 사과 수입, 수입쌀 추가 개방, 30개월 이상 된 소고기 수입 등이다.

이재석 강원특별자치도 농업인단체총연합회장은 “우리 정부가 트럼프 정부와의 대미 무역협상에서 주권 국가로서 당당히 미국의 협박에 맞서길 바란다”고 말했다.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