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일반

[AI 저널리즘 리빙랩]돌아오지 못하는 탑들 ⑤·完 ‘환지본처’를 위한 제언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 본보 'AI저널리즘 리빙랩' 보도 후 원주서 '환수 운동' 재점화
- 원강수 원주시장 “원주가 반출 문화재 돌려받을 준비 갖췄다”

문화재가 떠난 자리는 단지 ‘빈터’가 아니다. 그것은 기억의 공백이며, 공동체의 정체성이 비워진 공간이다. 일제강점기 서울로 옮겨진 원주탑의 유랑은 ‘환지본처’ 만이 유일한 해답이다. 있어야 할 자리로 문화재를 되돌리는 일은 단지 유물을 옮기는 행위가 아니다. 그것은 역사의 단절을 회복하고, 문화주권을 되찾는 것은 물론, 지역의 서사를 다시 쓰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문화재제자리 찾기에 대한 ‘요구’가 아닌 정부와 지역사회의 강력한 ‘실천’이 필요하다는 의미다.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야외정원에 세워진 원주탑들은 본래의 맥락, 조형과 신앙, 지역의 역사가 깃든 ‘장소성’은 철저히 지워진 채, 100년 넘는 시간 동안 조경석 역할을 하고 있다. 탑이 품은 이야기와 정신은 사라지고, 돌의 미감만 남은 상황이다. 문화재는 단지 눈앞에 있는 형상이 아닌, 특정 장소에 있어야만 작동하는 문화적 서사라는 점을 감안하면 문화재를 ‘중앙’에 모아 전시하는 제국주의적 발상은 해체돼야 한다. 이렇듯 문화유산의 기능은, 그것이 태어난 곳에서 비로소 온전히 작동한다. 환지본처가 필요한 이유다. 이를 위해서는 △지자체 책임 기반의 귀향 인프라 조성 △‘환지본처 거버넌스’ 구축 △법적·정책적 명문화 요청 등이 전향적으로 실시돼야 한다. 원주시는 원주탑들이 돌아 온 이후 보존·교육·관람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공간 확보에 나서야 한다. 특히 정부는 물론, 원주시와 강원특별자치도, 학계와 불교종단이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 중장기 이행 계획 수립도 선행돼야 한다. 무엇보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를 통해 ‘문화재 환지본처 지원 특별법’ 또는 ‘귀향 문화재 우선지원 조항’을 입법화하는 노력도 추진해야 한다. 환지본처는 중앙정부가 내려주는 ‘시혜’가 아닌, 지역 스스로 자신의 유산을 감당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이자, 시민의 문화권 선언이라는 인식의 전환도 필요한 때다.

원강수 원주시장은 본보 보도 이후 “역외로 유출된 지역 문화현황을 꼼꼼히 살피고 환수운동에 힘을 모을 것”을 약속했다. 원 시장은 “강원일보 기획기사 통해 원주의 문화자산이 국립중앙박물관 정원석으로 활용되는 것에 안타까운 마음이 들었다“며 “외부로 반출된 문화재 현황을 다시금 살피고, 시민과 함께 환수운동에 적극 나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동안 힘의 논리에 의해 무단 반출된 문화재를 원래 자리로 돌려놔야 한다. 중부내륙 중심도시로 도약하는 원주시는 이제는 반출된 문화재를 받을 준비가 되어 있다”고 덧붙였다.

오석기·허남윤기자

한림대 미디어스쿨=박근영·강세진·임미영·홍지윤

※ ‘AI 저널리즘 리빙랩’ 프로젝트의 온라인 컨텐츠는 QR코드 또는 강원일보 홈페이지(www.kwnews.co.kr)로 접속.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