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일반

중대본 "산불로 30명 숨지는 등 인명피해 총 75명…주택 3천채 전소·산림피해 4만8천㏊"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산불피해 영향구역 서울 여의도(290㏊)의 166배 달하는 규모
주택 피해 3천285채…대피소서 생활하는 이재민 4천700여명
"이재민 상실감·고통 말도 못 할 수준"… 성금 550억원 이어져

◇30일 경북 안동시 임하면의 마을에서 이재민들이 피해 상황을 확인하고 있다. 2025.3.30 사진=연합뉴스

속보=경북과 경남에서 동시다발로 발생한 초대형 산불로 약 4만8천ha(헥타르)에 이르는 산림 피해와 75명의 사상자 등 역대 최대 규모의 피해가 난 것으로 파악됐다.

고기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본부장(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은 30일 경북도 재난안전상황실에서 주재한 중대본 회의에서 "지난 21일부터 경남과 경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발생한 대형산불은 총력 대응 끝에 주불을 모두 진화했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산불은 인명과 재산 피해 모두 역대 최대 규모의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사망자는 30명, 중상 9명, 경상 36명 등 모두 75명이 산불 사태로 목숨을 잃거나 다쳤다.

산불 피해가 극심한 경북 의성과 안동, 청송, 영양, 영덕 등 경북 5개 시·군에서 사망 26명, 중상 4명, 경상 29명 등 59명의 사상자가 나왔다.

경남은 산청·하동에서 사망 4명, 중상 5명, 경상 5명 등 14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했다. 울산 울주에서는 2명이 경상을 입었다.

산불로 인한 피해 영향 구역은 4만8천238㏊로 서울 여의도(290㏊)의 166배 달하는 규모다.

의성이 1만2천821㏊로 가장 피해 면적이 넓었고 안동 9천896㏊, 청송 9천320㏊, 영덕 8천50㏊, 영양 5천70㏊, 산청·하동 1천858㏊ 등이었다.

주택 피해는 3천285채로 집계됐으며 아직 집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대피소에 생활하는 이재민이 4천700여명에 이른다.

이번 산불로 모두 3만4천746명이 대피했다가 2만9천969명이 귀가했다. 국가유산 피해 30건, 농업시설 2천여건 등 시설 피해도 컸다

◇30일 주불 진화가 완료된 경북 안동시 남후면 일대 산들이 까맣게 타 있다. 멀리 안동 시내가 보인다. 2025.3.30 사진=연합뉴스

고 본부장은 "산불 피해 현장은 생각보다 훨씬 참담하며 삶의 터전을 잃은 이재민의 상실감과 고통은 이루 말할 수 없는 수준"이라고 전했다.

정부는 이재민 안정과 조속한 일상 복귀를 위해 공공기관 연수원과 민간 숙박시설을 임시 숙박시설로 활용하고, 생업과 가까운 지역에 임시조립주택을 설치한다.

피해가 확인된 이재민에게는 지자체를 통해 긴급생활 안정지원금을 신속히 지원하고, 심리 및 의료 지원도 병행한다.

이번 산불사태가 발생한 뒤로 전날인 29일까지 약 1만여명의 자원봉사자가 피해 수습과 이재민 지원에 참여했다.

전국재해구호협회 등을 통해 약 550억원의 성금이 모금됐다.

고 본부장은 "이제껏 경험하지 못한 이번과 같은 산불은 언제든 다시 발생할 수 있어 예방과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며 산불 위험지역 수시 현장 점검과 진화인력·장비 선제 배치 등 철저한 초기대응을 약속했다.

아울러 "드론 등 첨단 장비를 활용해 산불 감시를 촘촘히 하고, 지역주민과 함께하는 자율순찰도 강화하겠다"면서 "매우 빠르게 확산하는 산불 경향을 반영해 주민 사전대피계획을 세밀하게 수립하겠다"고 강조했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