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원지역 응급의료시설 접근성이 전국 최하위권인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의정 갈등과 공보의 수도권 파견 등으로 의료공백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어 이를 해소하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이 시급하다.
26일 강원지방통계지청이 발표한 ‘2023년 강원지역 생활SOC 접근성 분석’에 따르면 30분 이내에 응급의료시설에 접근할 수 있는 강원자치도민의 비율은 79.5%로 전국에서 제주도 다음으로 가장 낮았다. 99.3%가 30분 이내에 응급의료시설을 접근할 수 있는 서울 등 8개 특별시·광역시와 비교하면 무려 20%나 떨어진다. 응급의료시설 접근성을 거리로 환산하면 서울이 2.94km로 가장 짧았고, 강원(22.32km)이 제주(22.29km)와 함께 가장 멀었다. 결국 강원자치도가 응급의료에 가장 취약한 지역인 셈이다.
실제로 도내에서는 병원이 없어 환자가 먼거리의 병원에 원정까지 가야하는 상황도 속출하고 있다. 지난 19일 경운기 고무벨트에 손이 끼여 좌측 검지가 부분 절단되는 사고를 당한 양양군 주민은 응급 치료를 받기 위해 119구급차로 1시간30분 이상의 거리에 있는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까지 가야 했다. 이에 앞서 지난 1일에는 뇌졸중 증상을 보인 양구군 주민이 3시간여만에 간신히 강릉아산병원으로 이송돼 치료를 받기도 했다.
도내 시·군 간 응급의료시설 접근 가능성의 격차도 큰 것으로 확인됐다. 춘천, 원주, 강릉을 비롯한 7개 시 지역의 응급의료시설 접근성은 90.6%인 반면 11개 군지역의 접근성은 46.4%에 불과했다. 군지역의 접근성이 시 지역의 절반 수준인 셈이다.
31명의 사상자를 낸 화성 화재사고로 최근 안전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는 가운데 강원지역은 응급의료시설뿐 아니라 소방관서의 접근성도 전국 하위권인 것으로 드러났다. 통계청 분석 결과 10분 이내에 소방관서로 접근 가능한 주민의 비율은 69%에 불과했다. 이는 전국 17개 시·도 중 열두 번째로 전국 평균(80%)보다도 떨어지는 것이다.
백민호 강원대 소방방재학부 교수는 “면적에 비해 인구 밀도가 낮은 강원지역 특성에 맞춰 소방 인프라 접근성 향상을 위한 방안을 고민해볼 때”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