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일반

‘치안 파수꾼’ 자율방범대원 1년새 1천명 이탈… 이유는?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법제화 이후 강원서만 1,600여명 급감
결격 사유 검증 엄격해져 “조사 받는 기분”
열악한 활동 여건 그대로 여서 개선 필요

본사 DB

경찰을 보조하며 지역 치안을 지켜 온 자율방범대가 70년만에 법제화 된 이후 오히려 ‘대원 무더기 이탈’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격 요건은 엄격해진 반면, 활동 여건은 여전히 열악한 것이 가장 큰 원인이다.

12일 강원경찰청에 따르면 2023년 기준 도내 자율방범대원 수는 6,114명으로 전년 대비 21% 감소했다. 불과 1년 만에 1,603명이 떠났다.

자율방범대는 1953년 ‘주민 야경제도’로 시작했고 2022년 ‘자율방범대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안’이 국회에서 통과되면서 70년만에 법제화 됐다. 가장 큰 변화는 자율방범대법에 대원이 될 수 없는 결격 사유가 명시되면서 이른바 ‘검증 절차’가 생긴 것이다. 경찰이 주민등록등본, 행정정보활용동의서, 개인정보활용동의서, 재직증명서나 사업자등록증 등 관련 서류를 검토하고 정식 대원으로 등록하는 방식이다. 결격 사유 확인을 위해 범죄경력도 조회할 수 있다.

이는 법정 단체 위상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였지만, 수십 년 동안 봉사해 온 대원들의 공감은 얻지 못했다.

춘천, 원주, 강릉 자율방범대 연합회 관계자들은 “주민들이 자율적으로 참여하는 봉사단체였는데, 졸지에 경찰 하부조직이 된 것 아니냐는 볼멘소리가 나왔다”며 “봉사자인데 경찰로부터 조사를 받는 것 같다며 불쾌감을 느낀 회원들도 있었다”고 말했다.

원주에서는 300여명이 무더기로 탈퇴하면서 순찰조별 인원이 5~6명에서 3~4명으로 줄어들었다.

우창석 강원특별자치도자율방범연합회장은 “자격 요건은 까다로워졌는데 노후 초소 등 활동 여건은 달라진 것이 없다”며 “경찰, 지자체와 더 긴밀한 소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