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강원포럼]‘에듀 포레스트’ 춘천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육동한 춘천시장

올 2월28일 우리 춘천이 교육발전특구로 선정됐다. 이로써 교육을 제일 첫 번째 우선순위에 두고, ‘전국 최고의 교육도시’를 표방해 온 발걸음도 더더욱 단단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 춘천은 예로부터 교육적 역량이 뛰어난 도시였다. 그러나 지금은 어떠한가? 한 해 300~400명의 지역인재가 고교 입학 이전에 수도권으로 유출되는 것이 현실이다. 기초학력 제고뿐만 아니라 저출산, 인구소멸 등의 문제 해결과 첨단지식산업, 일자리를 위해서라도 교육은 반드시 제대로 이뤄져야 하는 핵심 요소다.

‘교육이 국가는 물론 지역의 미래를 결정한다.’ 이것은 필자의 오랜 신념을 넘어 신앙과도 같다. 특히 일반 자치와 교육 자치가 엄격히 분리된 우리나라의 시스템에 대해 항상 문제 의식을 느껴왔다. 시스템의 한계를 넘어 교육 발전을 위해 모든 제도가 협력하는 데 나름의 방안을 만들었었다. 실제로 지방교육재정의 틀을 만들며 제도 개선에 노력했다.

시장 취임 이전부터 고향 춘천을 전국 최고의 교육도시로 만들기 위한 기본 구상을 마쳤다. 교육의 기능과 역할을 늘 신뢰하기에 취임 후 시정의 최우선 아젠다로 ‘교육’을 뒀다.

시청 내 교육 전담부서인 교육도시과와 산학협력과를 신설하고 체계적인 관리에 들어갔다. 교사, 학생, 시민 등 교육 주체와 객체가 참여하는 교육도시위원회를 구성하고 춘천형 교육도시 거버넌스를 구축, 모델을 안착시켰다. 춘천시의회에서도 조례 제정으로 교육도시 조성에 발을 맞춰줬다.

관내 6개 대학의 총장과 학장이 모두 참여한 대학도시정책협의회는 지역과 대학의 상생을 주도해 왔다. 특히 춘천교육지원청과의 협약을 통해 대학의 인적·물적 자원을 지역과 공유하는 ‘대학 자원 공유 활성화 사업’이 큰 주목을 받았다. 이러한 노력은 전국에서 유일하게 2개 대학이 글로컬 대학으로 선정되는 결과를 낳았다.

교육 현장의 이야기를 직접 들으려 일선 학교 16곳을 방문했다. 이 자리에는 춘천교육장님이 늘 함께해 주셨다. 시와 교육 당국이 한 몸이 돼 긴밀히 협력하며 일반 자치와 교육 자치 일원화를 구현했다. 춘천은 이미 특구 선정 이전부터 특구의 기능과 역할을 해온 셈이다. 정부도 교육발전특구 모델 준비 과정에서 오히려 춘천 사례를 참고했다는 사실이 이를 증명한다.

춘천의 모델은 ‘지역의 모든 자원을 활용한 생애 전주기 교육협력 지원으로 도시 전체를 교육도시화’하는 것이다. ‘인재가 성장하고 지역에 뿌리내려 숲을 이루니, 이것이 지역교육 백년지대계다’라는 ‘에듀 포레스트 춘천’이 비전이다. 지역인재 정주, 교육생태계 혁신, 교육선택권 확대, 교육거버넌스 활성화를 목표로 4개 분야 18개 추진과제를 선정했다.

춘천의 마을돌봄 시스템인 우리봄내 동동, 원도심 학교에서 글로벌 디지털 교육 등 특화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또 자율형 공립고, 협약형 특성화고 지정과 춘천의 핵심 콘텐츠인 문화예술, 태권도, 레저 등을 활용해 체·덕·지·예를 갖춘 인재 양성에도 힘쓰겠다. 대학입시 지역인재전형을 확대하고 대학과 고교 과정을 연결하는 방안도 마련하고 있다. 대학 졸업 후 지역에 정착할 수 있도록 춘천의 산업과 연계하는 선순환 생태계 역시 조성한다.

지금 필자의 앞에는 구슬이 세 자루가 있다. 지역의 보배인 아이들을 위해 시민과 함께 구슬을 꿸 것이다.

교육 때문에 오히려 서울에서 춘천을 찾게 하겠다. 교육을 통해 춘천에 활력이 넘치고, 더 많은 기회가 흐를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할 것이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파리올림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