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 3가구 중 1가구는 ‘1인 가구’, 맞춤형 정책 시급하다

도내 1인 가구가 25만가구를 넘어서면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현행 다인 가구 중심의 지역 사회 시스템을 1인 가구 증가에 맞춰 과감하게 개선해 나가는 것이 더욱 중요해졌다. 통계청의 ‘2023 통계로 보는 1인 가구’에 따르면 2022년 기준 도내 전체 가구(68만5,000가구) 중 37.2%인 25만4,000가구가 1인 가구로 집계됐다. 3가구 중 1가구가 1인 가구다. 전국 평균 34.5%보다 2.7%포인트 높고 전국 17개 시·도 중 대전(38.5%), 서울(38.2%)에 이어 세 번째로 높다. 도내 1인 가구 비중은 2019년 32.9%에서 2020년 35.0%, 2021년 36.3%로 나타나는 등 매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전국적으로 1인 가구의 연간 평균 소득은 3,010만원이었다. 전체 가구 평균(6,762만원)의 44.5% 수준이다. 소득 구간별로 보면 1인 가구 중 연소득 3,000만원 미만인 가구가 61.3%를 차지했다. 1인 가구의 자산은 2억949만원으로, 전체 가구 평균(5억2,727만원)의 39.7% 정도다. 주택을 소유한 1인 가구는 30.9%에 불과했다. 매년 급증하는 1인 가구는 평균 소득이 다인 가구보다 적고 주거·생활비와 빚 부담은 크다. 사회복지와 주거 시스템을 손봐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연령대별로 보면 도내의 경우 1인 가구의 23.3%가 70세 이상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60~69세(20.7%), 50~59세(16.8%), 29세 이하(16.7%) 등이 뒤를 이었다. 도내 1인 가구 중 60세 이상이 44.0%인 셈이다. 고령층 1인 가구에 있어서 간과할 수 없는 부분은 고독사다. 고독사 발생이 노년층에서 중장년층으로 확대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는 점도 주의 깊게 살펴야 한다. 특히 이혼과 실직 등 비자발적인 이유로 1인 가구가 된 경우 인간관계 단절로 인한 고립으로 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아 이에 대한 적절한 지원과 대책도 필요하다.

1인 가구의 구성은 매우 다양하고 복잡하다. 단지 혼자 산다는 것만으로 동일하게 규정하기 힘들다. 따라서 지역별 특성을 감안한 대상별 1인 가구 맞춤형 지원이 요구된다. 노년 사별 여성과 남성, 중년 이혼 여성과 남성, 미혼 젊은 남성과 여성의 경제 활동 유무 등에 따라 전략과 시스템이 달라져야 한다는 의미다. 즉, 보다 세분화된 정책 설계와 집행이 이뤄져야 한다. 여러 유형의 1인 가구 증가는 우리 사회의 주목할 만한 변화다. 정부뿐만 아니라 지자체와 지역 사회 차원의 촘촘하고 치밀한 대응과 관심이 절실하다. 이제는 혼자서도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사회적 기반이 조성돼야 한다.

가장 많이 본 뉴스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