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 여파로 지난해 기대수명이 사상 처음으로 감소했다. 사망 확률은 암, 심장 질환, 코로나19 순이었다.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2022년 생명표'에 따르면 이 기간 출생아(0세)의 기대 수명은 82.7년으로 1년 전보다 0.9년 줄었다. 전년보다 기대수명이 줄어든 것은 관련 통계 집계가 시작된 1970년 이후 52년만에 처음이다. 성별로 보면 남자가 79.9년, 여자가 85.6년으로 1년 전보다 각각 0.8년, 1.0년씩 감소했다. 남녀 간 기대수명 차이는 5.8년으로 1년새 0.2년 좁혀져 통계 작성 후 최소 격차를 기록했다.
통계청은 지난해 코로나19 사망자가 3만1,280명으로 전년(5,030명) 대비 6.2배 급증하면서 출생아의 기대수명이 짧아졌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출생아가 향후 암으로 사망할 확률은 18.1% 였다. 향후 사망원인 전망에서는 1위로 암(악성신생물)이 꼽혔다. 이어 심장 질환이 9.5%, 코로나19로 사망할 확률이 9.4%로 뒤를 이었다. 2021년 출생아들이 당시 향후 코로나19로 사망할 확률이 1.6%에 그친 것과 크게 대비된다.
통계청 관계자는 "코로나19 요인을 제거하면 지난해 출생아의 기대수명은 전년(83.6년)보다 0.1년 늘어난 83.7년으로 나왔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남녀 모두 전 연령층에서 1년 전보다 기대여명이 감소했다. 60세 남자는 22.8년, 여자는 27.4년 더 생존할 것으로 예상, 2021년보다 각각 0.7년, 1.0년 더 낮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