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당국이 '9·19 남북군사합의'에 따라 파괴 또는 철수한 11개 최전방 감시초소(GP) 중 강원특별자치도 고성에 있는 '원형 보존 GP'부터 복원하는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29일 복수의 정부 소식통에 따르면 군 당국은 2018년에 체결된 9·19 군사합의에 따라 인력과 장비 등이 철수했지만 원형 그대로 보존된 고성 '829GP'(옛 369GP)를 복원할 방침이다.
남북은 5년 전 군사합의에 따라 비무장지대(DMZ) 내에서 운영 중이던 각각 11개 GP 중 10개를 완전히 파괴했고, 1개씩은 병력과 장비는 철수하되 원형은 보존했다.
당시 남북은 비무장지대 내 1㎞ 이내 양측 GP 11곳을 철수 대상으로 선정했으며, 철수 절차가 끝나면서 비무장지대 내 GP는 북측이 160여개에서 150여개로, 남측은 60여개에서 50여개로 각각 줄었다.
원형이 보존된 고성 829GP는 1953년 정전협정 체결 후 DMZ 내 남측 지역에 처음으로 설치된 GP다. 2019년에는 문화재청에 의해 문화재(통일역사유물)로도 등록됐다.
군 당국이 829GP부터 복원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은 이유는 작전적으로 중요한 동부전선 최동북단에 있기 때문이다.
829GP는 북한 GP와의 거리가 580m로 비무장지대 내 남북 모든 GP를 통틀어 가장 가까웠다. 북측도 829GP 맞은편에 있는 북한군 철수 GP의 복원 작업을 진행 중이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일부 GP만 복원하는 것은 아니다"며 "상대방(북한)이 복원하면 우리도 맞대응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