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백】태백시와 태백시민들이 대한석탄공사 장성광업소 폐광 후 갱도 수몰을 반대하고 나섰다.
정부와 한국광해광업공단은 내년 6월 장성광업소 폐광과 함께 광해복구사업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시와 시민들은 광해복구사업에 앞서 폐갱도를 활용한 데이터센터, 폐기물장, 관광자원화시설 등의 활용방안을 마련야 한다는 입장이다.
김주영 태백시 지역현안대책위원장은 “폐갱도를 활용한 각종 사업의 사업성 등이 검토되지 않은 상황에서 수장은 받아들일 수 없다”며 “산업통상자원부 등 책임 있는 기관이 와서 주민들에게 향후 계획을 설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만 공단과 시민들의 입장차는 여전히 평행선이다. 지난 20일에는 장성체육관에서 광해종합복구 대책 시민설명회가 열렸지만 공단과 용역사가 원론적인 답변으로 일관, 시민 대부분이 중도 퇴장해 파행되기도 했다.
지역에서는 용역착수보고회 때부터 대체산업 마련 전까지 현 갱도 유지, 신속한 광해복구를 통한 적화·백화현상 방지, 장성광업소 근로자 유출방지를 위한 일자리 창출, 사택 활용 방안 및 지역주민 이주대책 등을 건의해 왔다.
김대승 시 산업과장은 “장성광업소 광해복구사업은 정부가 대안 없이 밀어붙이기보다 지역과 상생하는 대책 마련이 우선돼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현대위와 장성권역현안추진위원회 등은 30일 오후 2시 시청 회의실에서 장성광업소 광해복구사업 대톤회를 열고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한 후 대책 수립 용역에 반영을 요구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