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반

호텔·콘도 이용료 8% 껑충…추석연휴 여행 부담 커져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콘도이용료 8.5% 호텔숙박료 6.9% 올라
교통비·외식비도 줄줄이 상승 내수악화 우려

◇강원일보DB

추석 연휴를 앞두고 숙박요금, 교통비 등 강원특별자치도 내 여행 관련 물가 상승률이 두 자릿수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연휴기간 관광 활성화를 통해 내수 잡기에 나선다는 입장이지만, 소비자들은 지갑 열기를 주저하는 분위기다.

14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 달 기준 도내 콘도이용료 물가지수는 142.36으로 전년 동월(131.22)대비 8.49% 상승했다. 호텔숙박료 물가는 1년 전보다 6.87% 올랐다. 같은 기간 집계된 도내 소비자물가상승률(3.1%)을 두 배 이상 웃도는 수치다.

통상 숙박업체들이 명절 연휴기간 성수기요금을 적용하는 점을 감안하면 소비자가 체감하는 물가 상승률은 더 클 전망이다.

실제 강릉 안목해변에 위치한 A펜션의 경우 9월 주중 요금은 11만9,000원이지만 추석 연휴기간 31만9,000원을 받고 있다. 영월 무릉도원면 소재 B글램핑장 역시 주중 9만9,000원, 추석연휴기간 15만9,000원으로 연휴기간 요금을 더 높게 책정했다.

춘천에 거주하는 직장인 배모(40)씨는 "가족과 인근 지역으로 1박 정도 여행을 계획했으나 높은 비용 때문에 예약을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높아진 대중교통 요금도 여행을 망설이게 하는 요인이다. 지난 달 기준 도내 시내버스, 시외버스료 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각각 22.92%, 10.24% 상승했다. 시내버스료는 1998년 8월(33.48%), 시외버스료는 2020년 2월(11.46%) 이후 최대 상승폭이다. 고속·시외버스 업계가 지난 7월11일 버스요금을 일괄 인상한 영향이다.

여행비용에서 숙박과 함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외식비 역시 상승세가 여전하다. 한국소비자원의 가격정보사이트 참가격에 따르면 지난 달 도내 가격조사 대상 외식품목 8개 중 7개가 전년대비 가격상승을 기록했다. 상승폭이 가장 큰 품목은 짜장면으로 1년 사이 5,889원에서 6,722원으로 14% 올랐다.

이같은 물가 상승폭이 좁혀지지 않을 경우 정부의 내수 활성화 계획에도 차질이 생길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양오석 강원대 경영회계학부 교수는 "유가상승의 영향으로 전반적인 물가가 오름세로 돌아선 상황"이라며 "추석명절에도 불가피한 필수소비 외에 가계소비 확대를 기대하긴 어려울 전망"이라고 말했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