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은 29일 전임 정부가 재정을 방만하게 운영했다며 내년에는 긴축 재정으로 서민 복지와 국민 안전 등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2024년도 정부 예산안'을 심사·의결하기에 앞서 모두발언을 통해 이 같은 기조를 분명히 했다. 먼저 "모든 재정 사업을 원점에서 재검토해 정치 보조금 예산, 이권 카르텔 예산을 과감히 삭감했다"고 전했다.
총지출을 전년 대비 2.8%를 늘리는 데 그쳐 2005년 이후 가장 낮은 증가율을 기록했고, 그러기 위해 약 120조 원에 달하는 정부 재량 지출 가운데 20%를 들어냈다는 설명이었다. 이어 문재인 정부 시절 예산을 "선거 매표 예산"이라고 지칭하면서, 그 대신 "서민과 취약계층, 사회적 약자를 더욱 두텁게 지원하겠다"고 선언했다.
그 연장선에서 제시한 것이 '3대 핵심 분야'다. 3대 핵심 분야는 △진정한 약자 복지의 실현 △국방, 법치 등 국가의 본질적 기능 강화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성장 동력 확보 등으로 요약된다.
전임 정부의 복지 정책을 포퓰리즘으로 규정해온 윤 대통령은 상반된 차원에서 약자 복지 예산의 세부 항목을 설명하는 데 상당 시간을 할애했다.
특히 지난 정부와 비교하며 행간마다 '뼈'를 넣어 눈길을 끌었다. 윤 대통령은 "생계급여의 지급액을 21만3,000원 인상했다"며 "지난 정부 5년 동안의 19만6,000원을 단번에 뛰어넘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이어 "어르신 일자리를 역대 최고 수준인 103만 개로 확대하고, 6년 만에 수당도 7% 인상할 것"이라고 소개했다.
이밖에 군 장병의 후생 개선이 국가 안보로 직결된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장교와 부사관의 복무 장려금 2배 인상, 2025년까지 병 봉급 200만원 실현 등도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