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도 국가예산 정부안 제출이 한 달 앞으로 다가왔다. 강원특별자치도가 강원 3대 핵심 전략산업으로 꼽히는 반도체·바이오헬스·수소 분야의 국비 확보를 위한 막바지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자치단체의 국비 확보는 지자체 한 해 살림살이는 물론이고 자치단체장의 역량을 가늠하는 잣대다. 기반 구축 사업 대부분이 국비가 지원되지 않으면 할 수 없는 일이다. 재정이 넉넉지 않은 강원자치도는 국가예산 지원 없이 할 수 있는 사업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그래서 매년 예산 편성과 심의가 이뤄지는 하반기에는 국비 확보에 사활을 건다. 특히 내년은 김진태 도정의 임기 반환점이다. 전략산업에서 확실한 성과가 요구되는 상황이다. 김 지사가 직접 팔을 걷고 정부부처를 방문한 이유다.
반도체산업의 경우 의료 AI반도체 전문인력 양성센터 구축에 30억원, 반도체 소모품 실증센터 20억원, 미래차 전장부품·시스템반도체 신뢰성 검증센터 45억원 등 총 95억원의 반영을 요청했다. 이 중 의료 AI반도체 전문인력 양성센터의 국비 반영은 긍정적이지만 나머지 사업은 막판까지 타 지자체의 반도체 사업 계획과 경합이 예상된다. 바이오 분야에서는 차세대 체외진단 실증(춘천), 노인성질환 조기 진단 및 예방 기술개발(강릉), AI 기반 디지털헬스 수출 지원 플랫폼(원주), AI헬스·바이오R&D센터 구축(춘천·강릉)에 148억원의 반영을 노리고 있다. 아직은 전액 반영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수소산업의 경우 3,200억원대 대형 사업인 동해·삼척 수소 저장·운송 클러스터의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와 인력 양성, 장비 지원에 국비 12억원을 요청했다. 예타 통과 여부에 따라 예산 반영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도가 미래전략 핵심사업에 공을 들이는 이유는 확실한 도의 신성장 동력을 마련하겠다는 의지다. 모두가 강원의 미래와 직결된 사업이어서 하나같이 중요한 예산이다. 하지만 여전히 국내외 경제 여건은 변수가 많고 외부 악재도 적지 않다. 이 때문에 윤석열 정부가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허리띠를 바짝 졸라매고 재정을 긴축적으로 운영할 거란 전망이 많다. 어려운 여건인 만큼 도는 빈틈이 없도록 더 철저하게 대비해야 할 것이다. 전략적 맞춤형 대응으로 부처 단계부터 최선의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 정부도 이 같은 도의 요청에 적극 응답해 주기를 바란다. 강원자치도에 대한 지원과 투자는 국가 균형발전을 위해서라도 반드시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