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반

수년간 뜨거웠던 속초 아파트, 반년만에 식었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속초 올해 상반기 아파트값 낙폭 도내 가장 커
최근 춘천·원주 대비 속초·강릉·양양 거래량 뚝
다만 하락폭 줄고 심리 반등 … 금리방향 촉각

수년간 뜨거웠던 속초 아파트값이 올해 강원특별자치도내에서 가장 크게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지인 투자가 끊기고 실수요자도 관망세를 이어가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17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2023년 6월 전국 주택가격 동향조사’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1~6월) 도내 아파트 매매가격은 2.19%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속초 아파트값이 2.69% 하락, 도내에서 가장 낙폭이 컸다. 이어 원주 –2.59%, 춘천 -1.73%, 강릉 –1.31% 등의 순이었다.

바다조망권을 갖추고 있고 수도권과의 접근성이 개선된 속초는 지난 수년간 도내에서 아파트가격이 가장 많이 올랐다. 2020년부터 2022년까지 3년간 누계 상승률은 18.46%로 도내 최고일뿐 아니라, 세종특별자치시의 상승률(17.35%)을 웃돌았다.

그러나 기준금리 인상과 수도권 위주의 규제완화로 가격 상승을 주도하던 외지인 투자가 크게 줄고 실수요자들이 관망세를 유지하면서 급매물만 소진되고 있다.

속초 청호동 한 아파트의 전용면적 84㎡ 세대는 지난해 4월 최고가 7억2,500만 원에 매매됐지만, 올해 상반기엔 같은 평형 세대들이 4억~5억원에 거래가가 형성되고 있다.

아파트 실거래가 조회 부동산앱인 아실, 호갱노노 등에 따르면 속초지역 아파트의 외지인 매매 비중은 지난해 50%에 달했지만 최근 6개월 평균 비중은 32.9%로 크게 낮아졌다.

지난달 속초 아파트 거래량은 106건으로 전년동기대비 42.1% 감소했다. 인근 강릉은 같은 기간 50.8%, 양양은 50.0% 줄었다.

춘천, 원주지역 아파트 거래량이 각각 13.3%, 12.2% 감소한 점을 감안하면, 지난해 가격 상승이 거셌던 영동지역이 올해 더 깊은 침체를 맞은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전반적인 도내 부동산시장 하락세는 점차 잦아들고 소비심리도 살아나고 있다.

지난달 도내 주택시장 매매가격은 0.06% 하락하면서 지난해 9월 하락 전환된 이후 낙폭이 가장 적었다.

국토연구원에 따르면 6월 도내 주택시장 소비심리지수는 107.7로 지난해 6월(108.0) 수준을 회복했다.

김기현 한국부동산원 강릉지사장은 “영동지역은 외지인 등 투자수요가 많은 만큼 기준금리 영향을 많이 받는다”면서 “하반기 금리 방향이 결정되면 지역 아파트값도 그에 맞춰 변동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제공=한국부동산원>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