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해지방해양수산청은 2011년 묵호항 해경부두 인근 해상에 투기장 호안 460m와 친수 호안 460m 등을 축조해 제2준설토 투기장을 건설하고 도내 항만 준설 공사에서 발생하는 흙을 매립했다. 이 과정에서 인근 부곡동 주민들은 “1만5,000여명의 주민들이 생활하고 있는 주거지 인근에 준설토 매립장이 조성되면 해충, 비산먼지, 악취 피해가 우려된다”며 항만준설토매립장반대투쟁위원회를 구성하고 투기장 건설 중단과 백지화를 촉구했다. 결국 동해지방해양수산청과 대책위 등은 투기장의 매립이 끝나면 해당 부지를 주민들이 원하는 친수공간 등으로 활용하기로 하는 등의 협약을 체결했다.
지난 6월 중순에 이어 채 한 달이 되지 않은 최근 ‘동해시 부곡동 현안대책협의회’ 회원들과 국방과학연구소(ADD) 관계자들이 부곡동행정복지센터 회의실에서 만났다. 그러나 양측의 이견은 크게 줄어들지 않았다. 국방과학연구소 측은 “묵호항과 인접한 부곡동 매립지(준설토 투기장)가 무인잠수정(UUV) 과 무인수상정(USV) 등 해양무인자율체계 연구시설의 적지”라며 지난 해부터 주민들을 설득하고 있으나 주민들은 요지부동이다. 한화, LIG 넥스원 등 대기업도 투자 의사를 밝혔으며 세미나 공간과 숙소로 활용할 컨벤션센터를 건립할 계획이라고 설명하고 있으나 이를 뒷받침할만한 자료 한 장 제시하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연구소 측이 구체적인 계획을 제시하지 않고 ‘국책사업이니 믿어 달라’는 주장으로 일관하고 있다”며 “(연구소를)오라고 하는 곳에 가지, 왜 동해에 와서 시민들을 힘들게 하느냐”는 것이 대책협의회 측의 입장이다.
국방과학연구소는 지난 해 7월 동해시를 방문해 해양무인자율체계의 연구와 대형시험선 운용, 연구 인프라를 갖춘 국방시험연구원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며 200명 이상의 고급 인력이 상주하고 연구기관과 군산업체 관계자 등 유동인구도 늘어나 지역발전에도 도움이 된다고 밝혔다. 하지만 소식을 들은 주민들은 묵호항 보안구역 때문에 어려움을 겪은 마당에 새롭게 보안시설이 들어오는 것은 용납할 수 없고, 동해시가 역점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묵호항 재창조사업과 국제여객선 이전사업도 차질을 빚을 수 밖에 없다며 결사반대의 의지를 분명히 했다. 주민들은 인근 삼척시에 있는 국방과학연구소 삼척해양센터를 주목하고 있다. 2021년 5월 새천년도로변 구.광진매립장 일대 26만4,319㎡ 부지에 들어선 삼척해양센터는 당초 방위산업체 유치와 120여명의 연구인력 유입 등이 계획됐지만, 근무자가 20여명에 불과하고 기대했던 경제유발 효과가 미미한 실정이다. 동해시의회도 지난 해 8월 의원 8명 전원이 동해시청 브리핑룸에서 발표한 성명에서 “관광을 통한 지역활성화, 주민 생존권 확보, 엄중한 주민 의견을 담아 국방과학연구소의 연구시설 설립을 강력히 반대한다”고 주장했다.
지난 해 국방과학연구소의 사업 제안 초기만 하더라도 “(부곡동 매립지는)개발계획상 관광지로 우리 시 기본계획과 맞지 않아 개발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며 반대입장을 내비치던 동해시가 별다른 상황 변화가 없음에도 최근에 “주민들을 만나 보라”고 국방과학연구소 측에제안한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 주민들은 준설토 투기장이 묵호항 재창조 사업, 관광단지·친수공간 조성 등 지역경제 발전에 반드시 필요한 부지로 동해지방해양수산청, 동해시, 동해시의회, 부곡동 현안대책협의회 간 협약을 체결한 곳이라고 밝혔다. 또, 현재 동해항에 있는 국제여객선 터미널의 2025년 묵호항 이전과 시가 추진하고 있는 핑크뮬리 공원 조성, 한섬 감성 바닷길 연결 사업도 어려워지면서 이 일대의 공동화 현상이 더욱 가속화 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부곡동 매립지는 온전히 주민들에게 맡겨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