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중교통 마스크 해제 한 달째인 18일 전국에서 1만5천 명이 넘는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했다. 위중증 환자 수는 136명, 사망자는 10명을 기록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확진자가 1만5천173명 늘어 누적 3천100만9천261명이 됐다고 밝혔다.
이날 신규 확진자 수는 주말 진단검사 감소가 반영된 전날(4천946명) 확진자보다 1만227명 많다.
1주일 전인 지난 11일(1만2천437명)보다는 2천736명, 2주일 전인 지난 4일(1만3천365명)과 비교하면 1천808명 늘었다.
지난 2월 8일(1만7천920명) 이후 약 10주 만에 가장 많은 신규 확진자이기도 하다.
지난 12일부터 이날까지 1주일간 하루 신규 확진자 수는 1만3천920명→1만2천13명→1만1천246명→1만1천682명→1만188명→4천946명→1만5천173으로, 일평균 1만1천309명이다.
이날 신규 확진자 중 해외 유입 사례는 20명, 국내 지역감염 사례는 1만5천153명이다.
지역별 확진자 수(해외 유입 포함)는 경기 4천615명, 서울 4천373명, 인천 1천72명, 충남 550명, 대전 471명, 경남 467명, 전남 464명, 전북 444명, 대구 435명, 부산 415명, 광주 387명, 충북 373명, 강원 370명, 경북 337명, 세종 159명, 울산 124명, 제주 113명, 검역 4명이다.
이날 0시 기준 입원 중인 위중증 환자 수는 136명으로 전날보다 6명 늘었다.
전날 사망자는 10명으로 직전일보다 6명 많다. 누적 사망자는 3만4천386명, 누적 치명률은 0.11%다.

한편 해외여행력이 없는 국내 엠폭스(MPOX·옛 명칭 원숭이두창) 확진자가 13명으로 늘어 지역사회 확산이 우려되고 있다..
엠폭스는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급성 발열, 발진, 두통, 근육통 등을 동반하는 질환이다. 중서부 아프리카의 풍토병이었다가 지난해 5월 이후 세계 각국으로 확산했다. 대부분 2~4주 후 자연 치유되고 치명률은 1% 미만으로 보고되고 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국내에서는 작년 6월 처음 발생했다. 5번째 환자까지는 해외유입 또는 관련 환자였으나 지난 7일 확진된 6번째 환자 이후로는 모두 최근 해외 여행력이 없는 사람들이다. 최근 9일(확진일 기준) 동안 이렇게 지역사회 감염으로 추정되는 환자는 모두 8명이나 나왔다.
보건 당국에 따르면 이들 8명 중 5명에 대해서는 의료진의 판단 하에 항바이러스제를 사용한 치료가 진행 중이다.
질병청은 환자의 빠른 발견을 위해 의료인에게 의심증상, 임상경과 등 특성과 발생 동향을 알리는 '엠폭스 진단 안내서'를 배포하는 한편, 감염내과, 피부과, 비뇨의학과, 항문외과 등 피부병변을 진료하는 의료인에 대해 적극적인 의심환자 신고를 당부했다.
질병청은 특히 의심환자와의 밀접접촉 등 위험요인이 있거나 의심증상이 있는 경우 질병관리청 콜센터(1339)로 전화하고, 모르는 사람들과의 밀접접촉(피부·성접촉)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