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물가와 학생 유치난이 겹치면서 강원도내 대학들이 15년간 동결해 온 '등록금 인상'카드를 꺼내들고 있다.
학령인구 감소로 인해 2023학년도부터 등록금 수입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는데다, 대학이 지불해야 하는 공공요금은 2배 가량 늘고 있기 때문이다. 대학들은 "기존 등록금으로는 연구시설 확충은 커녕 기본적인 수업 여건 마련조차 어렵다"며 등록금 인상을 추진하는 분위기다.
춘천교대는 최근 등록금심의위원회를 열고 학부와 대학원 등록금을 모두 인상하기로 결정했다. 인상 폭은 전년대비 4.02%수준으로, 학부는 12만8,000원, 대학원은 13만9,000원이 오른다. 춘천교대 관계자는 "기존 등록금으로는 학사 운영이 더 이상 무리라는 생각에 15년만에 인상을 결정했다"고 말했다.
경동대는 학부 등록금을 4.03% 올리기로 결정했고, 강원대는 고민 끝에 학부를 제외하고 대학원 등록금만 4.05% 인상하기로 결정했다. 학부 등록금을 인상할 경우 국가장학금 지원을 받지 못하지만 인상을 하지 않으면 학사 운영마저 어려워질 처지에 놓였기 때문이다.
강원대 관계자는 "이번 달 공공요금만 지난해 보다 2배 가까이 오른 상황"이라며 "등록금을 인상해도 갑자기 늘어난 지출에 대응하는 정도밖에 안된다"고 토로했다. 강릉영동대도 2.9%에서 3% 수준의 등록금 인상을 결정했다.
반면 가톨릭관동대, 강릉원주대, 한림대, 상지대, 한라대는 동결을 결정했다. 그러나 물가 인상과 학생 유치난이 겹치면서 대학들의 고민은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한 사립대 관계자는 "대학들의 상황은 지금 생각보다 훨씬 더 어렵다"며 "교육 여건 유지를 위해서라도 등록금 인상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토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