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정보원은 28일 "북한이 7차 핵실험을 감행한다면 10월 16일에서 11월 7일 사이일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또 "북한의 풍계리 3번 갱도가 완성돼 핵실험 가능성이 높아진 상황"이라고 보고했다.
국회 정보위원회 여야 간사인 국민의힘 유상범(홍천·횡성·영월·평창), 더불어민주당 윤건영(서울 구로구을) 의원에 따르면 국정원은 이날 정보위가 비공개로 진행한 전체회의에서 이같이 보고했다고 밝혔다.
유 의원은 "핵실험 가능성에 대한 의견을 물었는데, 국정원에서는 만약 북한이 핵실험을 한다면 10월 16일 중국 공산당 제20차 당대회 이후부터 11월7일 미국 중간선거 사이에 할 가능성이 높다고 예측하는 상황이라고 답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만약 감행한다면 그렇다고 말한 거지 확률이나 실제 가능성의 의미로 말한 건 아니다"라면서 "국제 정세가 가장 중요하다는 여러 입장을 고려해서 조심스럽게 의견을 말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국정원이 "북한에서 풍계리 3번 갱도가 완성됐고 핵실험 가능성이 높아진 상황"이라고 보고했다고 유 의원은 전했다.
윤 의원은 이와 관련해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할 때 중국의 당 대회 (이후), 미국의 중간선거 이전이란 것"이라며 "이 부분(핵실험 가능성)이 확률적으로 어느 정도라고 얘기하기보다는 여러 가지 국제적 관계나 북한의 코로나19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보고 판단하지 않겠느냐는 설명이 있었다"고 전했다.
국정원은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둘째 딸 김주애(9)로 추정되는 소녀가 공식행사에 처음 모습을 드러냈다는 외신 보도와 관련해서는 "가능성이 적다"고 밝혔다.
유 의원은 "국정원에서는 '김정은 일가가 가족에 대해 관리하는 상황에 비춰봤을 때 당사자가 김주애일 가능성은 적다'고 파악하고 있었다"고 전했다.
지난 23일(현지시각) 영국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중국 전문가들은 김 위원장의 둘째 딸 김주애가 지난 9일 북한 정권 수립 74주년 경축 행사 무대에 처음 등장했다고 주장한 바 있다.

국정원은 국내 언론에서 보도한 '김정은 위원장을 지근거리에서 수행하는 인물'에 대해서는 "모란봉악단에서 2016년부터 2018년까지 드러머로 활동했고, 판문점 정상회담 당시 연주자였던 홍윤미 씨"라고 확인했다고 윤 의원은 설명했다.
국정원은 홍 씨와 관련해 "현송월 (노동당 부부장)을 대체하는 게 아니라, 현송월의 의전을 보좌하는 역할로 (행사에) 참석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면서 "물품이나 문서를 수발하는 담당 업무를 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국정원은 북·중 관계와 관련해선 "김정은 위원장과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 간 친전 교환이 8회 있었다"고 보고하면서 "친전을 김 위원장이 6번, 시진핑 주석이 2번 보냈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윤 의원은 친전을 주고받은 시점과 내용을 묻는 말에 "자세한 내용은 말하기 어렵다"고 답했다.
국정원은 북한의 코로나19 상황과 관련해서는 "북한이 현재 국경 지역에 대규모 백신 접종을 실시했으며, 봉쇄와 해제를 반복하고 있는 상황으로 비춰볼 때 '코로나19를 완전히 근절했다'는 북한의 발표는 신뢰하기 어렵다고 판단한다"고 정보위에 보고했다.
국정원은 김 위원장의 건강과 관련해서는 "김 위원장이 체중 관리를 잘해서 체중을 많이 줄였다가 최근에 보니 130∼140㎏대로 복귀한 게 확인됐다"며 "현재 말투나 걸음걸이에서 건강 자체에 이상이 있는 징후는 없는 것으로 파악했다"고 말했다고 유 의원이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