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일반

지역·대학 역할 분담…강원도, 첨단산업 요람으로 키운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대·본보 주최 '지역·대학 상생발전 포럼'
"지역 바이오산업 육성·협력 통해 키워내야"

지역사회가 바이오를 비롯한 첨단 산업 분야의 요람이 되고, 국가와 지자체는 지역을 첨단산업 경쟁력을 주도하는 장소로 키워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강원일보와 강원대 공동 주관으로 21일 강원대 글로벌경영관 AMP홀에서 열린 '지역·대학 상생발전 포럼'에 참석한 지역 산업·연구개발 전문가들은 이와 같이 말하고 대학·연구소·기업이 협력할 수 있는 플랫폼인 강소연구개발특구를 활성화시켜 실질적인 지역사회 재생으로 이어지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용래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바이오산업 발전 과정에서 지역별 클러스터를 구축했음에도 질적 성장에는 상대적으로 소홀했다"고 지적하고, "지방 소멸 위기가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복합적인 클러스터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과정에서 지역 대학이 중심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김한석 춘천바이오산업진흥원 기획조정실장은 "대학은 기술과 인력의 원천인 만큼 사업화를 고려해 연구개발하고, 현장형 전문인력을 육성해야 한다"며 "지역에서 바이오산업을 도전적으로 육성하되, 기술분야 전문가 등과 교류하고 결합하며 창업을 활성화시켜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같은 제안에 대해 강원도와 강원대, 춘천시 등도 가능한 지원을 아끼지 않고 협력해 나가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김진태 지사는 "현재 강원대가 진행중인 강소연구개발특구사업은 첩첩이 쌓인 규제를 피해 지역을 다시 거듭나게 하기 위한 용트림"이라며 "지역 안에서 자리잡고 활성화될 수 있도록 지원을 지속하겠다"고 발표했다.

김헌영 강원대 총장은 "인프라와 기술, 인적 자원을 바탕으로 산·학연관의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지역 바이오산업 허브역할을 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육동한 춘천시장은 "춘천시는 조직개편을 통해 대학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향후 지속적으로 대학의 자원을 지역사회와 공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최병수 강원일보 전무이사도 "충분한 지원과 지역사회 자원이 결집해 의미 있는 지역 발전 동력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