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명 중 7명 이상이 20대 남성을 뜻하는 '이대남'이라는 용어 사용에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3일 한국언론진흥재단이 발표한 '이대남 현상에 대한 인식' 조사결과에 따르면 20∼50대 남녀 응답자 1천명 중 71.1%가 '이대남' 용어를 부정적이라고 답했다.
'매우 부정적'은 26.5%, '약간 부정적'은 44.6%였다.
반면, 긍정적 입장은 13.1%, '매우 긍정적' 0.9%, '약간 긍정적' 12.2에 그쳤다.
‘이대남’ 용어 사용이 가져올 수 있는 문제점이 든 5가지 예시문 중 '이대남, 이대녀와 같은 구분은 성별·세대 간 갈등과 분열을 조장할 수 있다'는 것에 전체 88.9%로 가장 많이 동의했다.
'매우 동의’를 기준으로도 51.8%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이밖에 '다양한 성향을 지닌 20대 남성들을 단순하게 한 집단으로 묶어서 보는 것은 적절치 않다'(85.8%)와 '이대남 용어, 나아가 20대 남성 집단 자체가 정치적으로 악용될 소지가 있다'(85.0%), '유독 20대 남성 집단만 별도로 떠서 관심을 기울일 만한 타당한 이유가 없다'(77.1%), '20대 남성 집단에 대한 과도한 관심은 여성 및 다른 연령대에 대한 역차별이 될 수 있다'(74.9%)였다.
'이대남' 현상의 실체에 대한 인식에는 '정치인, 인플루언서 등이 세간의 관심과 영향력 확대를 위해 활용하는 세대·성별 갈라치기 프레임이다'에 가장 많은 83.2%가, '일부에서 관찰되는 특성이 언론 보도 등에 의해 확대·재생산되고 부풀려진 현상이다'에 82.3%가 동의했다.
'실제 현실에 기반한 실체가 있는 사회현상이다'에 동의한 경우는 59.6%에 그쳤다.
‘이대남’의 당사자인 20대 남성들 가운데 자신이 ‘이대남’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23.3%, 36.8%가 '아니다', 40.0%는 ‘잘 모르겠다’를 선택했다.
이대남 현상이 지난 20대 대통령선거에서 20대를 위한 정책 공약에 어떤 영향을 줬는지를 물은 질문에는, '공약이 더 자극적이게(포퓰리즘적이게) 됐다'는 것에 65.8%가 동의했다.
‘공약이 더 많아졌다’(55.0%), ‘관련 공약에 있어 후보별 차별화가 더 어려워졌다’(47.8%)와 ‘공약이 더 다양해졌다’(45.5%)였다.
'공약의 실효성이 더 높아졌다'는 항목에 대한 동의율은 32.6%를 기록했다.
이번 조사는 언론재단 미디어연구센터가 10∼14일 온라인 방식으로 실시했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0% 포인트다.
이태영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