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일반

강원도 고성 최전방 철책 통해 1명 월북…軍, 3시간동안 몰라 감시망 구멍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사진=연합뉴스

1일 강원도 고성 동부전선 군사분계선(MDL) 철책을 통해 우리 국민으로 추정되는 1명이 월북하는 상황이 발생하면서 대북 감시망의 허점이 또다시 노출됐다.

2일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어제 오후 9시 20분께 동부전선 육군 22사단 경계지역인 비무장지대(DMZ) 내에서 미상 인원 1명을 감시장비로 포착해 신병 확보 위해 작전 병력 투입해 DMZ 작전 중 해당 인원이 오후 10시 40분께 MDL을 넘어 월북한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후 확인 과정에서 같은 날 오후 6시 40분께 해당 인원이 GOP(일반전초) 철책을 넘는 장면이 과학화 경계감시장비에 포착됐다고 합참 관계자는 설명했다.

군은 월북자가 철책을 넘은 뒤 신병확보 작전 돌입하기까지 약 3시간 동안 몰랐고, 신병 확보에도 실패했다.

합참 관계자는 "CCTV에 포착됐는데 당시 CCTV 감시병이 인지하지 못했고 이후 재생 과정에서 월책 모습이 확인됐다"고 전했다.

현재 월북자의 생사는 확인되지 않았다.

합참 관계자는 "우리 국민에 대한 보호 차원에서 오늘 아침 대북 통지문을 발송했다"고 말했다.

현재까지 북한군의 특이동향은 포착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에 월북 사건이 발생한 부대는 강원도의 험준한 산악 지형과 긴 해안을 함께 경계하는 부대로 사건·사고가 잇따라 지휘관의 '무덤'으로 불리는 곳이다.

해당 부대에서는 작년 2월에는 북한 남성 1명이 고성 통일전망대 인근 해안을 통해 '오리발' 등을 착용하고 뚫린 배수로를 통해 월남한 사건이 발생했다.

이보다 앞서 3개월 전인 2020년 11월에는 북한 남성이 최전방 철책을 넘은 지 14시간 30분 만에 기동수색팀에 발견돼 초동 조치에 문제가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을 받았다. 당시 북한 남성은 GOP 철책으로부터 1.5㎞ 남쪽까지 이동해 있었다.

앞서 2012년 10월에는 북한군 병사가 군 초소 문을 두드려 귀순 의사를 표시한 일명 '노크 귀순'이 발생한 부대다.

군 당국은 이들 사건 이후 과학화 경계감시장비 성능 개선 등의 조치를 취하고 있으나 이번에도 철책을 넘는 월북자를 사전에 저지하지 못했다.

합참 관계자는 "우리 국민에 대한 보호 차원에서 오늘 아침 대북 통지문을 발송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군 당국은 3시간가량 월북 사실을 몰라 대북 감시망에 구멍에 뚫렸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

이태영기자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