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

[춘천]경영 전문성 의문 여전…시의회 부결시 대책 없어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시내버스 경영 정상화 과제와 대안 (상) 플랜B 없는 인수절차…끊이지 않는 특혜 시비

◇춘천녹색시민협동조합은 22일 춘천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동·대한운수에 대한 향후 인수절차 과정과 자금확보를 위한 조합원 모집 계획을 설명했다. 사진은 브리핑하는 조합 양종천 부이사장(위쪽 사진).

시민협동조합 향후 인수 절차·자금확보 방안 밝혀

시의회 통과 안될 땐 다른 대안 없어 도돌이표 우려

버스 노조 “각종 시의 특혜 의혹 투명하게 공개”요구

춘천녹색시민협동조합이 춘천 유일 시내버스 업체인 대동·대한운수 인수를 진행 중이다. 지난 1월 회생절차 개시결정 이후 10개월 만인 지난 19일 서울회생법원에서 회생계획안이 통과됐다. 하지만 조합의 대동·대한운수 인수가 확정된 것은 아니다. 일각에서는 인수 과정에서의 특혜와 조합 측의 경영 능력에 대한 의문도 나오고 있다. 춘천 시내버스 업체의 경영 정상화를 위한 과제와 대안을 3회에 걸쳐 살펴본다.

춘천녹색시민협동조합의 대동·대한운수 인수 절차는 잔금 처리만 남겨두고 있다.

매각금액 78억원 중 현재 계약금과 중도금으로 30억원을 입금한 상황이며 내년 1월 48억원을 완납하면 인수 절차가 마무리된다.

조합 측은 인수금융을 통해 잔금 48억원을 충당할 계획이다. 이후 차고지·건물 매입이 확정되면 춘천시로부터 지원금 48억원을 받게 된다.

일부에서는 시의 이 같은 지원대책을 특혜라고 주장한다.

시의회가 의결하지 않았는데 시가 차고지·건물 매입을 결정했고 사실상 적자노선 분리 대책인 시내버스 노선체계 개편을 발표했기 때문이다.

더욱이 시가 적자노선에 따른 손해를 보전하기 위해 손실보전금을 현재 60억원에서 80억원으로 상향한 점도 특혜로 거론되는 이유다.

특정 조합이 자본금 한 푼 없이 지역에 하나뿐인 버스업체를 인수한다는 비판도 크다.

춘천녹색시민협동조합은 특정 지역 유지에 빌리거나 조합원의 개인 담보대출을 받아 계약금과 중도금을 마련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합은 22일 춘천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 같은 특혜지원에 대해 반박했다.

허태수 이사장·양종천 부이사장은 “춘천시의 지원은 서울회생법원에서 요구한 것”이라며 “매각 금액을 지원한 특정인에 대한 신상정보는 개인정보로 밝힐 수 없다”고 말했다.

조합은 이날부터 시민을 대상으로 공식적인 조합원 모집을 시작했다. 시민과 대동·대한운수 승무원을 이사회에 포함하고 경영인도 공개 채용하는 등 시민공영제를 시행하겠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경영 전문성 의문과 함께 차고지·건물 매입이 시의회에서 부결될 경우를 대비한 다른 대안을 전혀 준비하지 않은 점은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황선재 대동·대한운수 민주노총 강원지회장은 “버스 운영과 무관한 협동조합이 일부 시민의 출연금으로 회사를 인수하는 것 자체가 문제”라며 “인수 과정에 시 지원에 따른 시민의 혈세가 투입되는 등 각종 특혜 의혹도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고 밝혔다.

춘천=하위윤기자 hwy@kwnews.co.kr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