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반

[강원인, 당신은 누구십니까]“젊은층 세대 유출 막기 위한 일자리·산업정책 시급”

지경배 강발연 일자리센터장

이번 조사에서 20~30대 젊은층에서의 이사의향이 컸는데, 이들은 대부분 수도권으로 이사를 희망하고 있으며, 그 주된 이유는 취업문제였다. 젊은층의 인구유출문제의 해결을 위한 특단의 조치가 요구된다.

젊은층은 취업문제, 중년층은 교육문제, 그리고 노년층은 의료보건문제가 연령층에 따른 주된 이사 이유였다. 한편 모든 연령층에 걸쳐서 가장 큰 이사 이유는 '수준 높은 문화생활' 때문이었다.

각 연령층이 안고 있는 가장 현실적인 문제(취업, 교육, 의료보건)가 지역에 터를 잡고 살기 위한 필요조건이라면 문화생활의 향유라는 보다 고도화된 행복추구가 도민들이 공히 희망하는 정주(定住)의 충분조건이었다.

도민들이 가장 불만족하는 것은 경제여건, 문화여건 그리고 교육이었다. 불만족 여건은 상기 이사 이유와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며 경제, 문화, 교육 여건의 개선이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제기됐다.

이사의향, 생활여건 만족도 등의 모든 항목에 걸쳐서 영동과 영서 간 현격한 의식차가 존재했다. 영동·영서 간 그리고 도농간 의식격차 해소를 위한 정책사업이 필요하다.

이번 도민의식 조사 결과는 강원도의 정책방향 설정에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도민들의 문화생활 욕구는 해를 거듭할수록 증가하고 있는데 반해 이의 기반이 되는 경제, 교육, 의료보건 등 기초적 여건은 아직 미비하다는 것이다. 무엇보다도 젊은층의 인구유출을 막기 위한 획기적인 일자리 정책, 산업 정책이 요구된다.

또 젊은이들이 터를 잡고 일할 수 있는 미래 성장동력 산업의 육성이 무엇보다도 시급하다. 영동·영서 간 의식격차도 재확인하였다.

수도권 동반성장 여파로 영서지역의 경제적 여건이 다소 호전되는데 반해 영동의 경제여건은 그렇지 못한데서 기인한 결과로 해석된다. 영동-영서 간의 경제격차 해소를 위해 해양과 대륙의 전초기지인 영동지역을 북방경제의 중심축으로 집중 육성해야 한다. 또한 농촌지역의 경제, 교육, 복지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도농통합형 도시기반 조성도 고민해야 할 시기이다.

하위윤기자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