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들의 생활이 날이 갈수록 피폐해지고 있다.
통계청이 올 3분기 가계수지동향을 조사한 결과 실질소득은 오르지 않은 반면 물가는 크게 뛰어 실질소득 증가율은 0%를 기록했다.
그러나 금리 및 환율 급등으로 대출 이자나 해외송금 등의 비소비지출은 증가, 은행권에서 대출이 막힌 서민들은 고금리의 사채시장으로 몰리고 있다.
■실질소비 2.4% 감소
통계청이 21일 발표한 3분기 가계수지동향에 따르면 2인 이상 전국 가구의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346만5,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5.5% 증가했다.
하지만 물가가 오르면서 물가상승률을 반영한 실질소득 증가율은 0.0%로 지난 2005년 3분기의 마이너스 0.2%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전국 가구의 실질소득은 지난해 3분기에 증가율이 4.9%였고 경제위기가 일부 반영됐던 올해 2분기에도 0.3%를 기록했다.
소비위축은 더 심해 전국 가구의 3분기 월평균 소비지출은 229만5,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3.0% 늘어났지만 실질소비는 2.4%가 감소, 관련 통계가 나온 2003년 이후 가장 낮았다.
비소비지출은 50만4,000원으로 지난해 동기대비 10.3%나 늘었는데 특히 금리와 환율상승 영향으로 지급이자 및 교육비, 생활비 송금 항목이 17.2%나 증가, 최근의 금융시장 불안이 국민들의 실생활에 큰 타격을 주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사채로 내몰리는 서민들
이에 따라 자금이 필요하지만 은행권에서 대출이 막힌 서민들이 고금리 사채시장으로 내몰리고 있다.
김모(47·원주시무실동)씨는 지난 6월 경기한파를 견디지 못하고 운영하던 음식점을 폐업했다.
창업을 위해 금융권에서 대출을 받기로 했지만 서민금융기관의 대출이 여의치 않자 무등록 대부업체인 A사의 대출광고를 보고 돈을 빌릴 수밖에 없었다.
김씨는 “사채 쓰기가 무섭지만 먹고살기 위해 어쩔 수 없었다”고 했다.
도에 따르면 지난 6월 현재 도내 등록 대부업체(259개)의 대출 거래자 수는 1만9,945명이고 대출 총액은 496억5,300만원에 이른다.
통계가 잡히지 않는 불법 대부업체까지 포함할 경우 사채 규모와 이용자는 이보다 훨씬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고 이에 따른 피해사례도 늘고 있다.
실제로 금융감독원의 사금융피해상담센터에는 8월 253건, 9월 321건, 10월 384건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도청의 홈페이지나 직접 경제과에 문의해 합법적인 대부업체를 이용해야 한다”며 “만약 대출받은 경우에도 피해가 커지기 전에 법원의 개인회생이나 파산 등 법적절차를 활용해 채무의 악순환을 단절해야 한다”고 했다.
유병욱기자·하위윤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