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일반

[NEWS+]지역별 인구변화 실상

 -강릉
 -위기의식속 '불황의 늪' 허덕

 강릉지역이 불황의 늪에서 허덕이고 있다. 그동안 춘천, 원주와 더불어 도내 '빅 3'지역으로 분류돼 온 강릉지역은 지난해 원주가 기업도시에 이어 혁신도시까지 유치하면서 주변지역의 인구와 자금을 빨아들이는 블랙 홀이 될 것이라며 강한 위기 의식을 갖고 있다.

 주민들은 더욱이 2014년 평창 동계올림픽을 유치한다 해도 평창에 대단위 관광리조트인 알펜시아 조성사업이 이뤄질 경우 강릉이 배후도시로 누릴 수 있는 부대 효과가 그다지 크지 않을 것으로 보고 강한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물론 혁신도시 탈락 이후 강릉과학지방산업단지를 국가가 지원하는 연구·개발 특구로 지정받아 활성화하고 강릉 남부권에 관광레저형 기업도시를 건설하는 방안 등이 돌파구로 대두되고 있으나 시민들은 실현 가능성에 대해 여전히 반신반의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강릉지역 음식점, 숙박업소 등 관광업계는 물론 제조업체나 건설업체, 건축업계, 택시업계 등에서는 오래전부터 '먹고 살려면 원주로 가야 한다'는 푸념이 심심치 않게 흘러 나오고 있고 이를 실행에 옮기는 경우도 종종 눈에 띄고 있다.

 한국은행 강릉본부가 최근 발표한 '1월중 영동지역 금융기관 여·수신 동향'에 따르면 영동지역 예금은행 수신은 4조 5,904억원으로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으며 여신 역시 가계 대출 감소와 비은행 금융기관 여신 감소 등으로 460억원이 감소한 6조6,379억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올들어 강릉시 건축허가 건수는 56건으로 지난해 같은기간의 38건에 비해서는 다소 증가했으나 2004년의 127건과 비교할 때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424개 업체, 652개 업종에서 올해 391개 업체, 579개 업종으로 감소한 강릉지역 전문건설업체는 현재 바닥에서 허덕이는 건설 경기를 감안할 때 이 숫자도 많다고 주장하고 있다. 음식점이나 숙박업소들도 관광 비수기인데다 5·31지선 여파와 업소 난립, 경기 침체의 영향으로 몇몇 업소를 제외하곤 대부분 불황에 허덕이고 있다며 아우성치고 있다. <江陵=高達順기자>

 -원주
 -인구흡수 블랙홀? 인구유출 방패막?

 혁신도시와 기업도시 유치를 계기로 원주시 인구가 빠르면 내년초 30만명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되는 등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원주시에 따르면 주민등록상 거주자는 2월말 현재 29만1,571명으로 지난연말 29만73명 보다 1,498명 늘어났다.

 이중 도내 지역에서 주소를 옮겨온 전입자는 2,136명인데 비해 원주에서 도내 타지역으로 빠져나간 인구는 983명에 불과해 올들어 1,153명의 도내 인구가 원주로 유입됐다.

 같은 기간 수도권을 비롯한 타시·도에서 원주로 순 유입된 인구가 256명 임을 감안하면 원주시의 인구증가는 횡성, 영월, 평창 등 도내 인근지역 주민들 위주로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도내 인구의 원주 유입은 원주로 이전해 온 수도권 기업에 취업하기 위한 구직자들과 음식점 등 상업활동에 종사하는 신규 창업자, 그리고 자녀들의 교육여건 때문 등으로 분석되고 있다.

 지난해 원주지역에는 동화지방산업단지에 자동차 부품 생산업체인 (주)동우와 10개 협력사가 한꺼번에 이전해 오는 등 모두 74개의 기업들이 이전 또는 신규 설립돼 일자리 창출에 한몫을 했다. 이 때문에 원주가 인근지역의 인구를 흡수하는 '블랙홀'이라는 지적과 오히려 일자리를 찾아 수도권 등 타시·도로 옮겨가는 도내 인구 유출을 막아주는 '방패막이'라는 이중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原州=李明雨기자·woolee@kwnews.co.kr>

 -태백
 -잇단 폐광 “일자리 없어” 떠나

 국내 최대 규모의 광업도시로 손꼽히던 태백시의 주민등록 인구가 지난 81년 시 개청 이후 연평균 4,400여명씩 줄어들며 날이 갈수록 지역세가 위축되고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태백은 8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가행 광산이 45개소나 됐지만 지난 89년 정부의 석탄산업합리화정책이 시작되면서부터 함태탄광과 강원탄광 등 크고 작은 광산 42개소가 잇따라 문을 닫았다.

 이와함께 현재까지도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 석공 장성광업소와 태안광업소 태백광업소 등 가행 광산 3개소도 수차례에 걸쳐 채탄 목표량이 축소 조정되자 일자리가 감소, 도시 공동화 현상이 빚어지고 있다.

 실직 광원 등의 이주 사태가 이어지자 지난 81년 시 개청 무렵 11만4,095명이던 태백 인구는 지난 83년 11만7,143명으로 최고치를 보였지만 지난해 연말엔 5만2,463명으로 줄어들었다.

 이 같은 인구감소 추세는 강원랜드 카지노 개장 등에 힘입어 지난 98년의 5만9,896명 이후 8년째 5만명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등 다소 둔화되고 있다.

 자동차로 20여분 거리에서 강원랜드 카지노가 가동되자 딜러 등 직원 3,000여명중 약 400여명이 태백에서 살고있으며 각종 개발 사업 성공시, 인구유입 효과는 한층 더 커질 것으로 기대된다.

 중소 탄광의 대거 폐광으로 붕괴직전의 위기에 몰려있는 지역경제를 재건시켜줄 대형 개발 사업으로는 황지동의 서학레저단지와 구문소동의 국민안전체험 테마파크 조성 사업 등이 시선을 끌고 있다.

 이들 사업중 서학레저단지는 태백관광개발공사가 지난 2004년부터 오는 2008년까지 2,884억원을 들여 황지동 함백산 기슭 일대 145만여평에 조성하며 주민 731명 고용 등 효과가 기대되고 있다.

 국민안전체험 테마파크는 시가 오는 2010년까지 2,500억원을 들여 구문소동 평화마을 등지 28만8,500여평에 조성할 예정이며, 주민 3,580여명이 일자리를 구할 수 있을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太白=張星日기자>

 -인제
 -농촌 곳곳 빈집만 덩그러니

 인제군 농촌지역에 흉물로 방치되고 있는 빈집이 늘고 있다.

 인제군의 인구가 최근 2년 동안 증가세로 돌아섰으나 지난 1970년 6만1,000여명에 달하던 인구가 이농 각종 사업으로 인한 집단이주 등의 영향으로 30여년간 매년 감소하다 지난 2003년에는 3만2,000여명으로 절반 가까이 줄어들었다.

 이에따라 6개 읍·면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폐가들이 장기간 방치돼 있고 오지로 들어가면 빈집을 쉽게 볼 수 있는 등 청정지역 이미지를 훼손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특히 농촌체험관광마을로의 발전을 모색하고 있는 마을들은 빈집이 마을 이미지와 경관을 해치면서 경관 형성의 걸림돌이 되고 있어 골치를 앓고 있다.

 지난해부터 새농어촌건설운동에 적극 나서면서 농촌체험관광 마을로의 부상을 꿈꾸고 있는 남면 갑둔리 주민들도 마을 입구에 있는 빈집을 정비할 계획이다.

 과학화전투훈련장이 조성되면서 주민들이 집단 이주한 상남면 김부리 일대에도 빈집들이 그대로 방치돼 있어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이에따라 인제군은 주요 도로변을 중심으로 청정 이미지 조성을 위해 폐가 정비사업을 펼치고 있으나 빈집에 대한 현황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인제군은 이달중에 읍·면별로 빈집 현황을 조사해 빈집 정비 카드를 작성, 종합적인 관리를 할 계획이며 올해중 1,000만원을 들여 20동을 철거하기로 했다.

 지난해에는 북면 월학리 3개동, 상남면 상남리 2개동, 서화면 서화1리 2개동 등 총 25개동의 빈집을 철거했고 지난 3월에는 북면 월학3리 2개동 등 6개동을 철거했다.

 건물 소유주들은 철거비용의 부담으로 인해 굳이 집을 허물 필요가 없다며 철거를 기피하는 경향도 있어 빈집 정비사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관련 예산의 국비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麟蹄=沈殷錫기자>

 -양구
 -軍에만 의존 인구 계속 줄어

 접경지역인 양구군은 인구감소는 물론 지역경제마저 침체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악순환을 겪고 있다.

 지난 1973년 소양강댐건설이후 육지속의 고도(孤島)로 전락하면서 도로의 접근성이 열악한데다 생활불편마저 가중돼 지난66년 인구 4만1,000여명에서 절반 가량인 2만1,464명으로 줄어들었다.

 이러다 보니 군장병을 상대로 한 음식 및 숙박업 등 서비스업종이 대부분인데다 지역건설업체이외에는 물류비용 증가 등 접경지역의 지리적인 특성상 변변한 제조업체가 전무한 실정으로 재정자립도가 19.7%에 그치고 있다. 더욱이 총 경제활동인구 5,008명중 23.1%가 숙박 및 음식점과 오락 및 문화관련 업종에 종사하고 있는 만큼 군장병이나 면회객들에 대한 지역경제 의존도는 절대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육군이 군장병 외출·외박 위수지역을 전국적으로 확대할 움직임을 보이자 군장병에 대한 의존도가 절대적인 접경지역 자치단체들은 존립기반마저 뒤흔든다는 위기의식에 사로잡혀 있다.

 이에 따라 자치단체및 의회를 비롯한 기관·사회단체와 상공인, 주민들이 참여하는 범군민비상대책위(상임대표:김태진의장)를 구성, 도와 인근 접경지역 자치단체들과 함께 '군장병 위수지역 전국확대정책 철회' 운동을 벌이고 있다. 또 지역상가들의 바가지요금행위 근절 등 서비스질 개선과 함께 극장을 비롯한 신세대장병들의 욕구에 걸맞은 문화공간을 확충하는 등 군민 스스로의 자정노력을 통해 주둔부대 장병과 접경지역 주민이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찾자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외출·외박 전국확대가 현실화될 경우 군장병의 의존도가 절대적인 접경지<

피플&피플